반응형
-
개요
- 암호 시스템이란 암호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 하기 위한 일련의 체계
- 암호 시스템의 기본 목적은 전송되는 데이터(메시지)가 의도된 수신자가 아닌 제3자에 의해 유출.활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
-
암.복호화는 쉽고 빠르면서 해독은 어려울수록 좋은 암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고, 좋은 암호 시스템은 확산과 혼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
-
확산(Diffusion)
- 확산은 암호 해독의 단서를 남기지 않기 위해 암호문과 평문의 관계를 숨기는 것
- 확산은 키와 암호문 사이의 관계
- 평문의 각 사용 문자에 대한 정보가 암호문 전체에 고루 분산되는 특성
-
혼돈(Confusion)
- 혼돈은 암호문을 사용해서 비밀키를 알아내는 것을 막는 것을
- 평문과 암호문 사이의 관계
- 평문과 암호문 사이의 대응 관계를 알 수 없어야 하는 특성
-
-
암호 시스템의 구성 요소
- 평문(Plaintext, M) :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 암호문(Ciphertext, C) : 평문을 제3자가 알아볼수 없는 형태로 변형되어진 문자/부호
- 암호화(Encryption, E) :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해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형하는 과정
- 복호화(Decryption, D) : 암호문을 다시 평문으로 복원하는 과정
- 암호 알고리즘(Cryptographic Algorithm) : 평문을 암호화하거나 암호문을 복호화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절차로서 일반적으로 암호 알고리즘은 공개됨
-
키(Key, K) : 암호화, 복호화를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정보/문자열
- 암호 시스템의 목적
목적 | 정의 |
기밀성 |
|
무결성 |
|
인증 |
|
부인 방지 |
|
기타 |
|
- 암호 시스템의 분류
구분 | 대칭키(비밀키) 암호 시스템 | 비대칭키(공개키) 암호 시스템 |
특징 | 암호화 키 = 복호화 키 | 암호화 키 = 복호화 키 |
암호화 키 복호화 키 암호 알고리즘 대표 알고리즘 비밀키의 분해 비밀키의 보유 수 인증 서비스 암.복호화 속도 |
비밀 비밀 공개 SEED, DES, AES 필요 많음 곤란(디지털 서명 등 서비스 제약) 빠름 |
공개 비밀 공개 RSA, EIGamal 불필요 적음 용이 느림 |
반응형
'밥벌이 > 정보 보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보호 시스템의 평가 기준 (0) | 2010.12.13 |
---|---|
공통 평가 기준(CC; Common Criteria) (0) | 2010.12.13 |
대칭키 암호 시스템 (0) | 2010.12.10 |
비대칭키 암호 시스템 (0) | 2010.12.10 |
공격(Attacks) (0) | 201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