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반응형
밥벌이/데이터베이스

인덱스(Index)와 해싱(Hashing)

  • -
반응형
  • 인덱스(Index)의 개요
    • 인덱스의 정의
      • 인덱스는 데이터 레코드(튜플)들을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키 값,포인터>쌍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구조인데, 포인터는 해당 키를 가지는 1개 이상의 레코드를 가리킴
      • 기본키를 위한 인덱스를 기본 인덱스라 하고, 기본 인덱스가 아닌 인덱스를 보조 인덱스라고 함
      • 대부분의 관계형 DBMS에서는 모든 기본키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기본 인덱스를 생성함
    • 밀집 인덱스(Dense Index)와 희소 인덱스(Sparse Index)
      • 밀집 인덱스
        • 인덱스 레코드는 모든 키 값에 대해 나타남
          (즉, 데이터 파일의 각 레코드의 키 값이 인덱스 엔트리에 포함)
        • 인덱스 레코드는 키 값과 해당 키를 가지는 첫 번째 레코드에 대한 포인터를 포함
      • 희소 인덱스
        • 인덱스 레코드는 키 값에 대해 단지 몇 개만 나타남
          (즉, 일부 키 값에 대해서만 인덱스에 엔트리를 유지)
        • 일반적으로 각 블록마다 한 개의 탐색 키 값이 인덱스 엔트리에 포함됨
        • 레코드가 검색키에 의해 연속적인 순서로 되어 있을 때 적절함
        • 밀집 인덱스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삽입과 삭제에 대한 유지 부담이 더 적음
        • 일반적으로 레코드를 찾는 데 밀집 인덱스보다 느림
             
  •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 트리의 조건
      • 루트(Root) 노드라 불리는 특정한 1개의 노드가 존재
      • 루트 노드와 리프(Leaf)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은 자식 노드를 가짐
      • 순환(Cycle)을 허용하지 않음
    • 트리 관련 용어
이름 내용
루트노드
  • 트리의 최상위 노드
A
차수(Degree)
  •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가지의 수를 의미
  • 트리의 데이터 구조 정의 시 몇 개의 노드 포인터가 필요한지를 결정
A의 차수는 3
G의 차수는 2
트리 차수
  • 트리를 구성하는 노드의 차수 중 최대값
3
이진 트리의 차수는 2
리프 또는 단말노드
(Leaf or Terminal Node)
  • 차수가 0 인노드
E,F,K,L,H,I,J
레벨(level)
  • 루트 노드의 레벨을 0으로 하여 순서적으로 증가하는 값
  
깊이(Depth)
  • 가장 높은 레벨
3
부모 노드(Parent Node)
  • 특정 노드의 바로 위(상단)에 위치하며, 가지로 이어진 노드
B와 D의 부모 노드는 A
자식 노드(Child Node)
  • 특정 노드의 바로 밑(하단)에 위치하며, 가지로 이어진 노드
C의 자식 노드는 F,G
형제 노드(Sibling Node0
  • 부모 노드가 같은 자식 노드들
C의 형제 노드는 B,D
  • 이진 탐색 트리의 개념 및 특징
    • 트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의 차수가 2를 넘지 않는 트리, 즉 하나의 노드는 2개의 자식노드(또는 서브트리)를 가질 수 있음
    • 트리 T의 좌측 모든 노드들의 값은 T의 루트 노드 값보다 작고, 우측 모든 노드들의 값은 루트 노드보다 크며, 트리 T의 좌우측 트리도 이진 탐색트리
    • 이진 탐색 트리에서 노드내의 값은 오름차순으로 유지하며, 레벨 k의 최대 리프 노드 개수는 2k
    • 이진 탐색 트리를 일반화한 m-원 탐색 트리에서는 한 노드가 최대 m-1개의 키와 m개의 자식 노드를 가짐
  • 이진 탐색 트리의 종류
    • 포화 이진 트리(Full Binary Tree)
      깊이가 K 일때 전체 노드 수가 2k-1 이고, 레벨마다 노드로 꽉 찬 트리, 즉 리프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들이 왼족 자신 노드와 오른쪽 자식 노드를 모두 가지는 트리
    •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
      깊이가 k일 때 레벨 k-1까지는 포화 이진 트리이고, 레벨 k에서 노드가 왼쪽부터 채워지는 트리, 즉 포화 이진 트리의 노드를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번호를 붙였을 때 번호가 큰 뒤쪽 노드만 생략된 트리
    • 사향 트리(Skewed Tree)
      노드가 죄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트리, 즉 리프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들이 한 방향의 자식 노드만 가진 트리
  • 이진 탐색 트리 순회 방식
    • 전위(Preorder) 순회 방식 : 처리 순서가 루트, 왼쪽, 오른쪽 순
    • 중위(Inorder) 순회 방식 : 처리 순서가 왼쪽, 루트, 오른쪽 순
    • 후위(Postorder) 순회 방식 : 처리 순서가 왼쪽, 오른쪽, 루트 순
         
  • B-Tree        
    • B-Tree의 개념
      • 루트에서 리프 노드까지 모든 경로의 길이가 같은 균형(Balanced) m-원 탐색트리
      • 루트와 리프를 제외한 모든 노드는 차수의 1/2이상의 자식 노드를 가짐
      • 모든 노드(루트, 리프, 비리프 노드)가 해당 레코드 주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리프 노드에 도달하기 전에 원하는 레코드 주소를 얻을 수 있음
      • 키의 삽입과 삭제시 노드의 분열과 합병이 발생할 수 있음
      • B-트리에서의 순차 검색은 중위 순회 방식(Inorder Traversal)으로 가능
      • 노드 오버플로우 발생시 노드를 즉시 분할하므로, 잦은 노드 분할이 발생할 수 있음
      • 차수 m인 B-Tree의 특징
        • 모든 노드는 최대 m개의 서브트리를 가짐
        • 루트 노드와 리프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는 최소 [m/2]개, 최대 m개의 서버트리를 가짐
        • 루트 노드는 리프 노드가 아닌 이상 적어도 두 개의 서브트리를 가짐
        • 리프가 아닌 노드에 있는 키 값의 수는 그 노드의 서브트리 수보다 하나 작음
        • 모든 리프 노드는 같은 레벨에 있음
        • 한 노드안에 있는 키 값들은 오름차순을 유지
    • B+-Tree의 개념
      • B-Tree의 변형된 형태로, 인덱스 세트(Index Set)와 순차 세트(Sequence Set)로 구성
        • 순차 세트
          • 모든 리프 노드들로 구성되며, 모든 키와 레코드 정보를 가짐
          • 키 순서에 의한 레코드 접근을 제공하는 선형적이고 순차적인 방법 지원
        • 인덱스 세트
          • 순차 세트에 직접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
          • 해당 키 값을 갖는 리프 노드(즉, 순차 세트)에 신속하게 직접 접근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
      • 모든 키 값은 리프 노드에 존재하고, 트리의 레벨이 균형을 유지하므로 균등한 응답 속도를 보장
      • 리프 노드만이 해당 레코드 주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리프 노드에 도달해야 원하는 레코드 주소를 얻을 수 있음
      • 순차 접근이 용이하나 키 값이 인덱스 세트와 순차 세트에 중복해서 존재
      • 노드 오버플로우 발생 시 노드를 즉시 분할하므로 잦은 노드 분할이 발생할 수 있음
      • 차수 m인 B+-Tree의 특징
        • 루트 노드와 리프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는 최소 [m/2]개 , 최대 m개의 서브트리를 가짐
        • 루트 노드는 0 또는 2에서 m개 사이의 서브트리를 가짐
        • 리프가 아닌 노드에 있는 키 값의 수는 그 노드의 서브트리 수보다 하나 적음
        • 모든 리프 노드는 같은 레벨에 있음
        • 한 노드 내에 있는 키 값들은 오름차순을 유지하고, 순차 세트 내의 리프 노드들은 모두 링크로 연결되어 있음
    • B*-Tree의 개념
      • B-Tree의 변형된 형태로써 삽입 시 빈번한 분할 현상을 줄인 트리
      • 루트와 리프를 제외한 노드는 2/3 이상 채워져야 함
      • 노드가 오버플로우되면, 여유 공간이 있는 형제 노드에 재분배 과정을 거친 후 키를 삽입
      • 노드 분할은 모든 형제 노드가 다 차있을 때 수행되므로 노드 분할이 지연
      • 순차 접근이 어려우나 삽입 시 분할 현상이 최소화
      • 차수 m인 B*-Tree의 특징
        • 루트 노드와 리프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는 최소 [(2m-2)/3]개 , 최대 m개의 서브트리를 가짐
        • 루트 노드는 그 자체가 리프가 아닌 경우 적어도 2개의 서브트리를 가짐
        • 리프가 아닌 노드에 있는 키 값의 수는 그 노드의 서브트리 수보다 하나 적음
        • 모든 리프 노드는 같은 레벨에 있음
        • 한 노드 내에 있는 키 값들은 오름차순을 유지
             
  • 비트맵(Bitmap) 인덱스
    • 개념
      •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검색 시 빠른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분포도가 낮은(즉, 같은 속성값을 갖는 튜플 수 가 많은) 속성에 대해서 비트맵을 구성
      • 다중 키를 가진 질의를 쉽게 하기 위해 고안된 특수화된 형태의 인덱스로서, AND/OR 처리에 매우 유용함
    • 구성
      • 인덱스 대상의 속성값을 비트(Bit) 값인 0 또는 1 로 변환하여 인덱스 키로 사용하는 방법
      • 각 레코드의 해당 속성 값에 대해 대응되는 비트맵 비트(0,1의 값)를 설정하기 때문에 릴레이션에 있는 레코드의 수만큼 비트를 가짐
      • 비트맵 인덱스의 구성 예
           
    • 특성
      •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조회 목적의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하지만, 새로운 속성값이 삽입되거나 삭제될 때 비트맵 인덱스를 재생성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요구됨
      •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에 적용하기 어려움
    • B-Tree와 비트맵 인덱스의 비교
항목 B-Tree 비트맵 인덱스
인덱스 검색 속도
  • 필요로 하는 인덱스 값만 검색이 가능
  • 상대적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검색할 때 유리
  • 항상 전체 인덱스를 검색해야 함
  • 상태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읽을 때 유리
인덱스 크기
  • 인덱스 크기가 비트맵 인덱스 보다 매우 큼
  • 비트맵 인덱스보다 크기에서 백배 이상 차이 날 수 있음
  • 인덱스 크기가 매우 작음(즉, 저장 공간이 적음)
인덱스의 변경관리
  • 트리 알고리즘에 의해 손쉽게 인덱스에 대한 키의 입력, 갱신, 삭제가 가능
  • 키의 삽입, 갱신, 삭제 시 전체 인덱스를 조정해야 하는 부담 존재
  • 인덱스를 재생성하는 비용과 유사
연산 능력
  • AND 연산에는 좋은 성능을 나타내나 OR 연산이나 != 연산의 성능은 매우 나쁨
  • AND, OR 연산은 비트 연산을 통해 빠르게 처리 가능
분포도
  • 데이터 분포도가 높은(좋은) (즉, 같은 속성값을 갖는 튜플 수가 적은)속성에 적합
  • 데이터 분포도가 낮은 속성에 적합

   

  • 트라이(Trie)
    • 개념
      트라이는 탐색을 위한 키 값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키를 구성하는 문자나 숫자 자체의 순서로 키 값을 구성하는 데이터 구조
    • 구성
      • 트라이의 차수는 키 값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자의 수, 즉 기수(Radix)에 의해 결정됨
        숫자로만 구성된 키인 경우 기수는 10 이고, 알파벳 문자로만 구성된 키인 경우 기수는 26 이므로 각각의 차수는 10과 26이됨
      • 트라이 노드의 크기는 차수에 의해 결정되고, 트라이의 높이는 키 필드의 길이에 의해 결정됨
        • 차수가 10이면 인덱스 노드는 10개의 포인터로 구성되고, 숫자로만 이루어진 키 필드의 길이가 7인 경우 트라이 높이는 7이됨
    • 특성
      • 키 의 삽입 및 삭제 시 노드의 분열과 병합이 발생하지 않음
      • 키 값이 문자열 또는 숫자일 경우 일련의 키 값들에 대해 일부분이 같은 문자나 숫자로 구성되었을 때 적합
      • 가변 길이의 키 값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키 값의 분포를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면 기억 장소를 절약할 수 있음
           
  • 해싱(Hashing)
    • 해싱의 개요
      • 해싱 함수를 사용하는 탐색 방법
      • 레코드 키를 가지고 해싱 함수의 계산을 통해 변환되어 나온 주소에 해당 레코드를 저장
      • 레코드 검색 시 주어진 레코드 키로부터 해싱 함수에 의해 주소를 계산해서 해당 레코드에 접근
      • 해싱 방법을 기초로 만들어진 파일을 직접 파일(Direct File)이라고 함
    • 해싱 관련 용어
      • 버킷(Bucket) : 동일한 해시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이 저장될 한 구역을 의미하며, 버킷의 크기는 같은 해시 주소에 저장될 수 있는 레코드의 수를 의미
      • 슬롯(Slot) : 1개의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n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버킷을 형성
      • 충돌(Collision) : 레코드를 삽입할 때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레코드가 같은 해시 주소를 갖는 현상
      • 동의어(Synonym) : 같은 해시 주소를 갖는 레코드들의 집합
      • 오버플로우(Overflow) : 계산된 해시 주소의 버킷 내에 저장할 기억 공간이 없는 상태
    • 해싱의 장.단점
장점 단점
  • 검색 방법 중 가장 빠름
  • 오버플로우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레코드 검색 시 한번의 디스크 접근으로 가능
  • 이진 탐색보다 많은 기억 장소를 차지하지만, 기억 공간이나 속도 측면에서 우수함
  • 오버플로우가 발생될 경우 처리 비용이 커지고, 기억장소가 낭비됨
  • 적당한 해시 함수의 선정이 중요함
  • 기억 공간 할당 크기를 알 수 없으므로, 해시 테이블을 위한 기억 장소 할당이 어려움
  • 해싱 함수의 기본 기술
    • 계수 분석(Digit Analysis)
      키 값을 구성하는 숫자의 분포를 파악하여 분포가 비교적 고른 자리부터 필요한 자리만큼 선택하여 레코드주소로 결정하는 방법
    • 제산(Division)
      • 키를 임의의 양의 정수로 나눈 나머지를 그 키의 레코드를 저장하는 주소로 결정하는 방법
      • 키를 K, 양의 정수를 n이라고 할 때 해싱 함수는 h(K) = K mod n (0 ≤ h(K) < n)
    • 제곱(Mid-square)
      키 값을 제곱한 후, 이 값이 중간 부분의 값을 택하여 레코드 주소로 결정하는 방법
    • 예) h(265) = 70225의 중간값 = 022
    • 폴딩(Folding)
      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나눠어진 각 부분의 값을 모두 더하거나 보수를 취해 더하여(XOR; eXclusive OR)레코드 주소를 결정하는 방법
    • 기수 변환(Radix Transformation)
      주어진 키 값을 어떤 특정한 진법의 수로 간주하여, 다른 진법으로 변환하여 레코드 주소를 구하는 방법
  • 해싱 충돌 해결 방법
    • 선형 조사(Linear Probing)
      • 해당 주소에서 충돌이 일어난 경우 해당 주소부터 차례대로 조사해서 가장 가까운 빈 공간을 찾아서 레코드를 저장하는 방법
      • 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이라고도 함
      • 해시 테이블의 구조가 간단하고, 탐색 시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음
      • 충돌이 빈번한 경우, 오버플로우 구역에서 탐색할 주소의 수가 증가
    • 버킷 주소법(Bucket Addressing)
      • 레코드의 모임인 버킷에 대하여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사용하는 방법
      • 하나의 해시 주소에 가능한 최대 수의 동의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할당
      • 특정 해시 주소에 대한 모든 동의어들은 해당 주소의 버킷에 순차적으로 저장
      • 폐쇄 주소법(Close Addressing)이라고도 함
      • 버킷의 크기에 따라, 버킷이 가득 차는 경우와 비는 경우의 불균형 발생이 가능
    • 이중 해싱(Double Hashing)
      • 오브플로우된 동의어를 오버플로우 구역에 저장할 때 2차 해시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 여러 개의 해싱 함수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여러 개의 해싱 함수를 적용
      • 평균적으로 선형 조사보다 탐색 비용이 적음
      • 충돌이 빈번한 경우 오버플로우 구역에서 탐색할 주소의 수가 증가
    • 독립 오버플로우 구역(Separate Overflow Area)
      • 별도의 독립된 오버플로우 구역을 할당하여 오버플로우된 모든 동의어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 충돌이 빈번한 경우 오버플로우 구역에서 탐색할 주소의 수가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
      • 오버플로우된 동의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오버플로우된 구역에 있는 모든 레코드들을 순차적으로 검색해야 함
    • 동의어 체인(Synonym Chaining)
      • 동일한 해시 테이블 내에서 동의어들을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구성
      • 오버플로우 발생 시 선형 조사나 오버플로우 구역등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탐색 시 해당 주소에 대한 포인터를 사용하는 방법
      • 충돌 시 순차 검색을 피할 수 있으므로 탐색 시간이 단축됨
         
  • 동적 해싱(Dynamic Hashing)
    • 개념
      • 데이터베이스가 확장 또는 축소(즉, 레코드 수가 확장 또는 축소)되는 데에 맞추어 해싱 함수를 동적으로 변경시키는 해싱 기법
      • 키 값을 사용하여 이진 트리를 동적으로 변화 시킴
      • 데이터베이스가 커지면서 버킷들을 쪼개거나 합치는 것이 동적 해싱의 기본 개념
      • 확장 해싱(Extendible Hashing)은 동적 해싱의 한 형태로, 트리의 깊이가 2인 특별한 경우
    • 등장 이유
      • 일반적인 해싱에서는 버킷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
        • 현재의 데이터베이스 파일 크기에 알맞은 해싱 함수를 선택하면 데이터베이스 확장 시 성능이 낮아짐
        • 이후에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게 될 만한 파일 크기를 산출하여 해싱 함수를 선택하면 초기에 디스크 낭비가 심해짐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크기에 따라 해싱 함수를 동적으로 변경할 필요성이 생김
           
  • 클러스터(Cluster)
    • 개념
      • 클러스터 : 디스크로부터 레코드를 읽어오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조인이나 자주 사용되는 테이블의 레코드들을 디스크의 같은 위치 또는 인접한 위치에 저장하는 방법
      • 해시 클러스터 : 클러스터의 다른 유형으로 레코드들의 클러스터에 해싱 함수를 사용하여 레코드가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물리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 특징
      • 클러스터는 함께 저장되어야 하는 레코드들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클러스터 키를 가지며, 클러스터 키는 하나 이상의 필드로 구성될 수 있음
      • 클러스터의 테이블은 클러스터 키에 대응되는 필드를 가짐
      • 클러스터 된 테이블의 레코드는 정규 테이블에 저장된 것처럼 조작이 가능
      • 클러스터 키의 필드 중 하나를 갱신하면 물리적으로 레코드를 재배치하는 작업이 발생할 수 있음
      • 클러스터 키는 기본키와는 독립적이며, 보통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함
      • 클러스터 된 레코드에 대한 임의 접근(Random Access)은 빨라지지만, 전체 테이블 스캔(Full Table Scan) 속도는 느려짐
           
    • OLTP - 네트워크 상의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단위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