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개요
- 인터넷의 창시자 Vinton Cerf와 Robert Kahn은 알파(ARPA; 미국방성 고등 연구 계획국) 프로젝트를 시작할 당시 "우리는 정말로 컴퓨터 자원의 공유를 원했다 그것은 대단히 민주적인 정신이었다."고 언급하였고, 이것은 인터넷을 떠받치는 큰 사상이 되었음
-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위력이 커짐에 따라 자신의 정보를 소유하려는 사상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 두 개념 즉, '정보의 소유'와 '정보의 공유'는 서로 부딪치고 어울리기도 하면서 인터넷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인터넷의 두 축을 이루고 있다.
- 정보의 소유와 공유
- 정보의 소유 측면에는 배타적인 기술인 방화벽, 보안, 암호 기술 등의 기술이 발달
- 정보의 공유 측면에는 클라이언트/서버, P2P 등의 기술이 발달
- 정보의 소유
- 정보 보안의 영역
- 적극적인 권리 주장
- 지적 재산권, 저작권,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 등 관련
- Copyright(저작권)
- Copyright[저작권] : 문학, 음악, 연극, 미술 작품의 내용과 형식의 복제, 출판, 판매 등에 대해 법적으로 보장된 배타적인 권리
- 솔루션으로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 IPS, 워터마킹, DRM, 암호 시스템 등
-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 차세대 능동형 보안 솔루션이라고 불리며, 인터넷 웜 등의 악성코드 및 해킹 등에 기인한 유해 트래픽을 차단해 주는 솔루션으로, 공격탐지를 넘어 탐지된 공격에 대해 웹 연결을 끊는 등 적극적으로 막아주는 솔루션
- DRM[Digital Right Management] : 디지털 콘텐츠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할 목적으로 콘텐츠의 안전하고 편리한 배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과 서비스
- 정보의 공유
- 공유 기술이 배타적 기술을 리드
- 해커들의 기본 사상이나 이념
- Copyleft(카피레프트)
- Copyleft[카피레프트] : 지적 재산권에 반대해 지적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 또는 그런 운동을 의미하며, 이러한 운동이 확산되면서 기업들도 저작권 보호를 고집하지 않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시키려는 방향으로 돌아서는 경우가 생겨남
- 관련 기술로 BO2K, 피카부티, 카메라샤이, cDc, 핵티비즈모 등
- 적극적인 보안과 소극적인 보안
정보 보안 기술에는 대표적으로 방화벽과 워터마크(Watermark) 기술이 있음
- 방화벽
자신의 정보 관리를 위해 접근 자체를 차단하는 것으로, 가장 '소극적인 보안'이라고 할 수 있음
- 워터마크
자신의 디지털 저작권의 권리 보호를 위해 저작물에 자신의 소유권이 보이지 않게 표시하여,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정보의 공유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보안'이라고 할 수 있음
반응형
'밥벌이 > 정보 보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M(Digital Right Management) (0) | 2010.08.13 |
---|---|
SSL(Secure Socket Layer) (0) | 2010.08.13 |
정보 보호 분류 (0) | 2010.08.12 |
정보 보호 기술 (0) | 2010.08.12 |
정보 보호의 개념 (0) | 201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