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서로 연결된 교환기와 통신 선로들로 구성되며, 호스트의 데이터는 교환기의 중계를 거쳐 적절한 경로를 통해 목적지까지 전달됨
-
회선 교환2개의 호스트 간에 교환기를 거치면서 사용할 전송로를 미리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예로 전화망이 있음
-
패킷 교환
- 메시지를 작게 자른 것을 패킷이라 하며, 패킷에 목적지 주소를 헤더에 부착하여 전송 선로에 보내고, 중간의 교환기는 패킷을 일단 버퍼에 저장했다가 헤더의 주소를 보고 다음 교환기를 통해 목적지까지 송부
- 패킷 교환은 고정된 전송로가 없고 전송로를 여러 호스트가 공유하는 형태
- 일반적으로 컴퓨터 통신을 위한 공중 데이터망은 패킷 교환을 사용하고, ITU-T의 X.25는 대표적 패킷 교환 프로토콜을 사용
-
프레임 릴레이
- X.25 패킷 교환은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 장거리 전송 망에 적합하나, 각 패킷 교환기에서 오류 검출과 복구 처리 과정 때문에 고속의 패킷 처리가 어려움
- 최근 디지털 전송 기술 발달로 선로 오류가 낮아짐에 따라, 종전의 복잡한 오류 복구 기능이 불필요하고 전송 중 오류는 종단 호스트에서 처리함
- 1980년 후반에는 기존의 패킷 교환기를 대체하여 고속 공중 데이터망 구축용으로 프레임 릴레이가 많이 사용되었음
-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 모드)
- ATM은 프레임 릴레이에서 발전된 일종의 고속 패킷 교환 방식
- 기존 프레임 릴레이와 큰 차이점은 ATM은 셀(Cell)이라는 53byte의 짧은 고정 길이를 가진 패킷을 사용
- ATM은 초고속 셀 교환을 통해 수 백 Mbps에서 수 Gbps의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하여 음성, 데이터,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망으로 활용 가능
-
ATM 망 기술은 인터넷을 위한 백본망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B-ISDN 구현을 위한 망구축 기술로 사용
-
-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기술
-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기술
- 광역 통신망(WAN)은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데 비해, LAN 방식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공유된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방송 형태(Broadcasting)로 데이터를 전송
- 대표적 LAN 방식 형태는 이더넷, 토큰 링, 토큰 버스, FDDI등이 있으며, 10Mbps에서 10Gbps까지 가능
-
최근에는 공유형 매체형이 아닌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고속 LAN이 등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ATMLAN, 교환 이더넷(Switched Ethernet) 등이 있음
-
인터넷 가입자망 기술
- 통신망은 교환기나 라우터와 같은 노드에서 노드까지 연결하는 코어 망(Core Network)과 호스트(단말)와 노드까지 연결하는 가입자 망(Access Network)으로 구성
- 초기의 가입자 망은 기본 전화선과 모뎀을 이용한 Dial-Up 회선을 통해 ISP의 라우터와 접속하는 형태인데, Dial-Up 모뎀은 전송 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전송 속도는 56Kbps
-
협대역 ISDN(N-ISDN)전화선을 이용해 데이터를 디지털로 전송하며, 전송 속도는 128Kbps
-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기존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는 최신 디지털 모뎀 기술이며, 비대칭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ISP 라우터에서 가정까지 하향 속도는 최대 8Mbps이며, 상향 속도는 최대 1Mbps
-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 케이블 망 분배 센터인 케이블 헤드엔드(Head End)에서 아파트 단지나 동네 입구까지는 광 케이블로 연결하고, 각 가정과 아파트는 기존의 동축 케이블로 연결하는 방식
- ADSL과 마찬가지로 HFC 케이블 모뎀이라는 특수 모뎀을 사용하며, 전송 속도는 하향 10Mbps, 상향 768Kbp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