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개요
- ITU-T에서 패킷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H.323을 1996년 '대역폭 비보장 LAN H.323 구성 요소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이란 이름으로 첫 번째 버전을 발표
- H.323은 단위 네트워크 규격으로 출발하였으나, 적용 범위가 인터넷으로 확대되면서 인터넷에 연결된 H.323 터미널로 VoIP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됨
-
H.323 구성 요소
-
H.323 단말기본적으로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디오와 데이터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제공
-
게이트키퍼구성 요소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
-
게이트웨이SCN에 접속된 단말과 H.323 단말 간의 통신을 지원
-
MCU(Multipoint Control Unit)다자간 회의 통화를 지원
-
-
H.323 호 설정 과정
- H.323 단말은 게이트키퍼에 등록한 후 호 설정을 게이트키퍼에 요청
- 게이트키퍼는 수신측이 연결된 게이트웨이에 호 요청을 알리고, H.323 단말과 게이트웨이에게 상대장의 IP주소를 전달
- H.323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에 RTCP 연결을 설정
- 게이트웨이는 접속된 SCN망을 통해 수신 전화기로 다이얼링을 함
-
수신자가 응답하는 순간 게이트웨이와 수신 전화기 사이에 SCN을 통한 연결을 설정하며, H.323 단말과 게이트웨이 사이에는 RTP 연결을 설정
-
RTP, RTCP
- RTP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이며, RTCP는 RTP세션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프로토콜
- RTP와 RTCP는 UDP와 함께 기본 전송 계층으로 사용되고, IP와 함께 기본 네트워크 계층으로 사용됨
- RTP는 특정 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협상된 동적 UDP포트를 사용함
-
반응형
'밥벌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4의 IPv6 이전 기법 (0) | 2011.01.14 |
---|---|
VoIP 망 구조 (0) | 2010.12.23 |
SIP (0) | 2010.12.23 |
전송 다중화 기술 (0) | 2010.08.13 |
데이터 인코딩 기법 (0) | 201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