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P 망 구조

반응형
  •  
    • VoIP 기술
      • 인터넷 상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압축한 후 IP 패킷화하여 인터넷 상에서 전달
      • 실시간적인 음성 신호의 전달을 위해 통신 관련 프로토콜인 RTP, RTCP, RSVP와 VoIP를 지원하는 H.323, SIP, MGCP, MEGACO, SS7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
    • 10Kbps 미만의 음성 코딩 방식
      • 기존의 PSTN 방식의 통화는 64Kbps로 정해진 용량의 PCM 회선을 제공하는 회선 교환망으로, 통화 품질이 보장됨
      • VoIP의 음성 서비스에서는 PCM 속도보다 훨씬 낮고 지연에도 덜 민감한 10Kbps 미만의 음성 코딩 방식을 사용하므로 통화 품질은 낮으나,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
           
  • 개요
  • VoIP 구성
    • 서비스 시나리오
      통신 주체가 PC인지 또는 일반 전화기인지에 따라 PC-to-PC, PC-to-Phone, Phone-to-PC, Phone-to-Phone 등 4가지 서비스 시나리오가 가능
    • 게이트웨이의 필요성
      • 일반 전화기를 통해 직접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과 SCN(Switched Circuit Network)간의 인터페이스용 게이트웨이가 필요
      • SCN이란 PSTN, ISDN, 셀룰러 네트워크 등 회선 교환 방식으로,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의 총칭
       
  • VoIP 관련 표준
    • H.323 : ITU-Y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 IETF
    •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 IETF
    • MEGACO(Media Gateway Control) : IETF
    • TIPHON : ETSI
         
  • VoIP 프로토콜 스택
    • 제어 및 신호 프로토콜
      • H.323 : TCP만 사용
      • SIP : TCP, UDP 중 선택
    •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
      • MGCP : UDP 사용
      • MEGACO / H.248 : UDP 사용
    •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인터넷 전송 기능
      • RTP : 짝수 포트 번호 사용, UDP 사용
      • RTCP : 홀수 포트 번호 사용, UDP 사용
반응형

'밥벌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구조  (0) 2011.01.14
IPv4의 IPv6 이전 기법  (0) 2011.01.14
H.323  (0) 2010.12.23
SIP  (0) 2010.12.23
전송 다중화 기술  (0) 201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