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의 - 각 프로젝트 활동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결정하는 프로세스
입력 | 도구와 기법 | 결과물 |
|
|
|
-
일정 개발 기법
-
주공정법(CPM; Critical Path Method)
- 미국 듀퐁사의 건설계획 추진시 개발된 일정 네트워크 분석 기법으로, 작업 시작에서 종료까지 가장 긴 시간을 가진 작업 순서, 즉 작업 네트워크 상에서 가장 긴 경로를 임계 경로(Critical Path)라 하며, 프로젝트 관리자의 주 관리 대상 경로가 된다.
-
주공정 연쇄법(CCM; Critical Chain Method)
- 제한된 자원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일정을 수정하는 일정 네트워크 기법 중 하나로, 네트워크 경로의 총 여유 일정을 관리하기 보다는 계획된 일정 활동에 적용된 자원과 완충 활동 기간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는 기법
- 자원의 제약 고려와 버퍼의 총괄 관리가 특징
- Critical path는 자원 가용성을 최종 확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관 관계와 수행기간만으로 결정 하므로 자원의 제약을 고려하면 전체 일정이 변경될 수 도 있음
- 각 Task를 수행하는 자원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여유시간을 낭비함
-
유형 | 설명 |
학생증후군 |
|
멀티태스킹 |
|
파킨슨법칙 |
|
-
일정 개발 -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한 시간 계획을 수립하여 일정이 적절히 준비, 갱신, 분석, 관리되도록 하기 위함
-
일정계획 수립 시 고려 사항
- CPM
- 자원 분석(요구사항, 보유 자원)
- 위험 분석
- 제약사항 분석
- 일정 개발 단계에서는 고객의 요구사항, 보유 자원, 위험 및 제약 사항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프로젝트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결정하고, 적절한 시기마다 마일스톤을 배치함으로써 향후 프로젝트 관리 시 기준이 되게 함
- 일정 개발 프로세스는 프로젝트의 일정이 확정되기 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현실성 있는 일정 계획이 수립될 수 있음.
-
-
CPM 일정의 초안 작성 절차
-
일정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들과 각 단계별 산출물 내역은 다음과 같음
-
Critical Path상의 작업은 전체 프로젝트 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
-
-
CPM의 작성 이유
- 작업 태스크 들은 논리적으로 배열하고 관계를 도식화
- 대안 계획 작성 시 다양한 분석이 가능
- 8실제 진척도 측정을 용이하게 함
- 적극적인 시간 관리 및 예방 차원의 관리를 지원
- 고객과 프로젝트 팀 간의 의사소통의 유용한 도구로 사용이 가능
- 자원 할당을 위한 기초가 되는 기본 바탕을 제공
-
프로젝트 통제와 진척도 평가를 위해 기본으로 사용
-
일정의 최적화CPM을 이용하여 수립된 일정 계획을 프로젝트의 일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제역사항을 고려해 최적화
-
베이스라인(기준선) 일정프로젝트 베이스라인 일정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바탕으로 확정
- 베이스라인 설정 가치 : 프로젝트의 진척도 및 성과 측정의 판단 근거가 됨
- 변경 절차 : 베이스라인 설정 후 이에 대한 변경 요구는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이루어짐
-
기간 단축 기법
- Crashing
- Critical Path상의 작업들을 대상으로 분석
- 원가 증가의 위험 존재
- 언제나 실현 가능성이 있는 대안이 있는 것은 아님
- 원가와 일정의 Trade-off 관계를 이용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한으로 기간 단축 예) 자원의 집중 투입
- Fast Tracking
- 세분화된 WBS를 통해 Fast Tracking 대상 활동을 선정
- 재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
-
선후 관계가 존재하는 작업들을 입부 병렬 수행을 통해 전체 작업의 기간 단축
예) 설계와 코딩의 일부 단계를 중첩시킴
-
기간 단축은 프로젝트 범위의 변경 없이 프로젝트 일정을 단축하는것.
-
PERT (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 기법
- 미 해군에서 미사일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
- 적용 : 연구 개발 등 신규, 경험이 적고 위험이 높은 분야의 일정 추정을 위해 사용
- 확률적인 모형을 사용, 3점추정방식(o:낙관치, m:최빈치, p:비관치) ( p + 4 m + o) / 6
-
CPM (Critical Path Method)기법
- 화학회사인 미국의 Dupont사 개발
- 적용: 유사한 경험이 많은 분야, 불확실성이 적은 경우(공장건설 등)
- 1점추정, 최빈치 사용
-
PERT Chart 예
-
프로젝트 네트워크 도형(Project Network Diagram)
- 프로젝트 활동과 각 활동 간의 논리적인 의존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
(PERT Chart는 프로젝트 네트워크 도형의 특수한 형태)
- 프로젝트 활동과 각 활동 간의 논리적인 의존 관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
-
일정 개발 도구
PERT/CPM(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Critical Path Method)- 일정 추정 기법인 PERT와 CPM을 혼용 하여 그래픽적으로 일정을 산출하는 기법
-
특징
- 프로젝트 작업 활동을 그래프로 표현 할 수 있다.
- 프로젝트 완료에 필요한 시간을 평가 할 수 있다.
- 프로젝트 완료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작업을 파악 할 수 있다.
- 프로젝트를 지연 시키지 않고 연기 될 수 있는 작업 활동을 파악 할 수 있다
- Critical Path (CP) : 여유시간이 0, 즉 가장 빨리 다음 활동에 착수 할 수 있는 시간이 곧 다음 활동의 착수를 최대한 연기 할 수 있는 시간과 같은 활동들을 연결한 경로
CP상의 활동이 지연되면 전체 개발 기간이 지연됨 -
일정계산방법
-
[Forward scheduling]
- 가장 빠른 날짜에 시작하고(ES,EarlyStart) 가장 빠른 날짜에 종료 (EF,EarlyFinish)
-
[Backward scheduling]
- 종료일로부터 거꾸로 계산, LS(Late Start), LF(Late Finish)
- 프로젝트 납기 준수를 위해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할 액티비티는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backward scheduling 필요
-
-
-
-
자원평준화(Resource Leveling)
- 과부하된 자원을 대상으로 투입자원 한계 내에서 분포 하도록 분산 하는 작업
- 일정의 추정은 어떤 자원을 전제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짐
- 투입 인력의 스킬 수준과 활용 가능한 기간, 인원 수 등의 자원 제약적 상황을 조정한다.
- Resource Leveling은 특정 기간에 과부하된 자원 제약사항을 해결하는 것
- 특정 기간에 과부하된 자원을 줄이기 위해 해당기간에 수행하는 액티비티를 다른 기간으로 조정
- 그때 액티비티는 Non-critical activity를 대상으로 한다.
- 어떤 액티비티를 얼마만큼 기간을 옮기느냐 하는 시행착오에 의한 방법(Heuristic)이다.
- 종종 Resource Leveling은 기간의 연장을 초래한다.
-
Gantt Chart
- 계획 대비 실적 파악에 유용한 요약 보고용
- 막대그래프를 이용한 효율적인 진척 보고와 가시성 확보
-
작업간 Dependency가 표현되지 않아 상호 종속성을 찾지 못하는 단점
-
전문가의 조언
- PERT Chart의 경우 각 활동들 간의 논리적 의존 관계를 파악하기 용이하지만, Gantt Chart의 경우 작성은 쉬우나 활동들 간의 의존 관계 파악이 어렵다,
- PERT Chart와 Gantt Chart의 차이점 알아 둘 것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