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서비스 연계 표준 지침
- 밥벌이/정보시스템 감리
- · 2010. 10. 5.
감리기준 등 정보화/SI 관련법령
- 밥벌이/정보시스템 감리
- · 2010. 10. 5.
웹접근성 가이드 라인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 글로 표현할 수 없는 콘텐츠를 제외하고 장애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① 이미지의 의미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절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③ 동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수단(자막, 원고 또는 수화)등을 제공해야 한다. ④ 색상을 배제하여도 원하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색상 이외에도 명암이나 패턴 등으로 컨텐츠 구분이 가능해야 한다. ② 배경 이미지가 의미를 갖는 경우, 이미지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컨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운용의 용이성(Operable) : 웹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기능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서..
목 적 행정기관의 정보화사업 추진 업무 생산성 증대 및 사업관리의 효율성과 투명성 제고 기존 정보화사업 추진 관련 법령 및 지침이 부처별, 목적별로 산재되어 관리되고 있어 발주기관 입장에서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보화 추진단계별로 발주기관이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법령 및 지침을 종합적이고 체계화된 지침서 형태로 제공 일관성 있고 표준화된 사업관리가 가능하도록 발주기관에서 사업관리 추진에 있어 필요한 각종 서식 및 예제를 관련 법령 및 지침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정보화 추진단계별로 제공
법 주요 구성 구분 항목 항목 1장 총칙 공공기관에서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함에 있어서 준수해야 할 기술과 표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함 적용 범위 : 공공기관이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함에 있어 계획수립, 개발, 시험, 운영 및 유지관리 등 전 단계에 적용 [기본원칙] 공공기관의 장은 기관의 정보기술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정보 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야 한다. 정보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은 표준화된 개방형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비표준의 폐쇄성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를 명시하여야 한다. 2장 분야별 기술지침 플랫폼 및 기반구조 분야, 요소기술 분야, 인터페이스 및 통합 분야, 서비스 접근 및 전달분야 등의 세부 지침 3장 지침의 활용 사업계획 수립 및 사업추진 시 활용 : 기관의 장, ..
행정안전부 고시 제2008-10호 일반사항 지침의 목적 정부기관에서 홈페이지 구축 시 콘텐츠에 접근하려는 모든 사람들이 어떤 컴퓨터나 운영체제,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사용하는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침의 적용범위 본 지침은 공포 이후 정부기관에서 구축하는 모든 정보화시스템 구축 사업의 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감리 등 전 단계에 적용한다. 다만, 관계법령에서 따로 정한 경우는 제외할 수 있다. 참조 권고 및 표준 실전 웹 표준가이드(2005,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홈페이지 구축 운영 표준 지침 (2005, 행정자치부) 기타 (KWCAG 1.0, WCAG 1.0, WCAG 2.0) 표준 관리 주체 본 지침은 행정안전부에서 유지․..
소프트웨어(SW) 분리발주 가이드라인 제정 2007.5.1 목적 이 가이드라인은 SW사업의 SW분리발주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제시하여 SW분리발주의 활성화를 도모함으로써 SW사업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여 정보시스템의 품질향상 및 비용절감에 기여하고 SW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용어 정의 "일괄발주"라 함은 SW사업을 추진할 때 SW, 하드웨어(HW), 시스템통합 등 모든 것을 함께 발주하는 것을 말하며, "SW 분리발주"라 함은 시스템의 기능을 분석하여 SW를 별도로 발주하는 것을 말한다. "시스템통합"이라 함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시스템통합사업자"라 함은 시스템 통합을 수행하는 자를 말하고, "SW공급자"라 함은 분리발주..
법 주요 구성(소프트웨어 사업대가 기준) 구분 항목 항목 1장 총칙 목적, 용어저의, 직접경비 범위 2장 정보전략계획수립비의 산정 본격적인 시스템 통합사업의 추진에 앞서 필요성 및 타당성 분석을 통해 정보화 추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업무에 대한 대가 산정 3장 소프트웨어개발비 및 재개발비의 산정 기능점수 방식과 투입인력의 수와 기간에 의한 산정 방식 4장 데이터베이스 구축비의 산정 문헌 등의 원시자료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보존하고, 그 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방식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적용 구축비 = 인건비 + 제경비 +직접경비 + 이윤 5장 시스템 운용환경 구축비의 산정 6장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비 및 운영비 지원 정보전략계획수립비의 산정 법 제2장 정보전략계획수립비의 산정 제3조(..
전자정부법 [시행 2010. 5. 5] [법률 제10012호, 2010. 2. 4, 전부개정] 행정안전부 (정보화총괄과)02-2100-2942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행정업무의 전자적 처리를 위한 기본원칙, 절차 및 추진방법 등을 규정함으로써 전자정부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고, 행정의 생산성, 투명성 및 민주성을 높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전자정부"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이하 "행정기관등"이라 한다)의 업무를 전자화하여 행정기관등의 상호 간의 행정업무 및 국민에 대한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정부를 말한다. 2. "행정기관"이란 국회ㆍ법원ㆍ헌법재판소ㆍ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행정..
점검해설서 구성 사용자 지침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는 아래와 같이 복합문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지침은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의 취지, 개발 배경, 정보시스템감리개념모델, 정보시스템감리점검프레임워크, 정보시스템감리 기본점검표의 도출 과정 등을 설명하며, 이를 기반으로 정보시스템감리기준과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에 대한 관리 및 활용체계를 소개한다. 사업유형/감리시점/감리영역별지침 사업유형/감리시점/감리영역별 지침은 정보시스템감리기준의 별표 2 인 정보시스템감리기본점검표의 점검항목을 점검하기 위한 검토항목을 제시하고, 검토항목별로 검토의 목적, 필요성, 감리관점/점검기준을 설명한다. 사업유형/감리시점/감리영역별 지침은 총 46개로 구성되어 있다. 주의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를 활용한다고 해서 감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