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무선 LAN은 케이블의 연결 없이 LAN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로 케이블과 허브의 연결 없이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 무선 LAN의 표준은 IEEE 802.11과 HIPERLAN이 있음 IEEE 802.11 IEEE 802.11 표준안은 제한된 지역 내에서 휴대 또는 이동 가능한 단말과의 무선 접속기술, 즉 물리계층에 관한 기술과 여러 사용자가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다중 접속 방식(MAC; Multiple Access Control)에 대해 기술 IEEE 802.11 망 구성은 인프라(Infrastructure) 망과 ad-hoc 망을 모두 지원 인프라 망은 유.무선 연결 장치인 AP를 통해 무선 ..
개요 여러 다양한 네트워크를 상호접속 시키는 제반 기법(즉, 여러 네트워크들을 교차하는 장치들 사이의 통신 기법) 인터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는 라우터, 게이트웨이, 리피터, 브리지, 허브, 스위치 등이 있음 라우터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하드웨어로, 목적지로 가는 최적의 경로를 결정해 패킷을 중계하는 장치 라우터는 두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 라우터도 하나의 컴퓨터로 볼 수 있으며, 고유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음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를 인식해 요처오딘 네트워크에 대한 경로를 배정하는 역할을 담당 게이트웨이(Gateway) 가장 복잡한 네트워크 간 상호접속 장치로, 완전하게 서로 다른..
개요 L2 스위칭의 기본 기능외에 L3 전송 처리의 부가 기능을 수행 L3 스위치의 2가지 주요 기능은 라우팅 처리 과정과 패킷 포워딩 전송 과정 L3 패킷은 IP, IPX, DECNet, AppleTalk 등이 있음 L3 스위치의 기능 라우터 처리 과정 패킷 전송을 위한 모든 라우팅 정보의 갱신 및 경로 설정 패킷 포워딩 과정 L2 및 L3을 포함한 모든 패킷의 전송에 필요한 과정 L3 스위칭의 역할 고성능 라우팅을 위해 스위칭 기술을 사용 스위칭을 기반으로 필요 시 라우팅을 추가 L3 스위치의 장점 고성능의 라우팅 성능 지원 스위칭 속도와 비슷한 라우팅 성능 지원 높은 대역폭의 지원으로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제거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지원 등 간편한 관리 기능 지원 설치 및 관리가 용이 이미 구성되어..
개요 TCP/UDP 포트 번호 이용 기존의 L2 및 L3와는 달리, 즉 MAC 주소나 네트워크 계층의 IP주소가 아닌 4계층의 TCP/UDP 포트 번호를 통해 패킷을 전송 가상 IP(VIP; Virtual IP) 기술 이용 기능별로 서버군을 구분하여 각 서버군에 가상 IP를 부여함으로써 효율성을 향상 사용자는 이 가상 IP를 네트워크 주소로 하여 접속 서비스 세션들을 특정 IP주소로 묶어주며, 종료 패킷을 확인할 때가지 모든 패킷을 전송 분산된 서버들 사이에서 트래픽 부하를 적절히 분배함으로써 특정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되는 편상을 막아 줌 L4 스위치의 주요 기능 QoS(Quality of Service)의 구현 애플리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 순위 결정 L4 스위치는 TCP/UDP 헤더의 포트 값을 ..
개요 L7 스위치란 콘텐츠를 인지해 원하는 포트로 전달하는 스위치 TCP/UDP 헤더 및 데이터의 일부를 분석 및 분류하여 HTTP URL 기반의 패킷 스위칭 기능을 수행 세션별, 사용자별, 응용별 QoS 정책을 지정할 수 있음 L7 스위치의 기능 TCP 연결성 유지 사용자 단말의 TCP 연결 설정 요구를 중간에 가로채서 목적지 서버로 TCP 연결 설정을 요구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로는 TCP 연결이 설정되었음를 알리는 Acknowledge 메시지를 보냄 쿠키(Cookie) 기반의 연결 지속성 클라이언트들이 방화벽 혹은 NAT를 통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할 경우, 클라이언트들의 IP는 모두 공인 IP 치환되어 인터넷으로 전송 서버측에서 L4 스위치에 의해 로드 벨런싱된다고 하면 클라이언트 A, B..
개요 L4 스위칭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현재 인터넷 데이터의 대부분이라 할 수 있는 웹 데이터에 대한 부하 분한 기능을 강화함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접속 요구를 URL 정보에 따라 복수의 웹 서버에 배분하는 장치 IP 주소나 TCP/UDP 포트 값뿐만 아니라 URL 정보에 따라 복수의 웹 서버에 배분하는 장치 IP 주소나 TCP/UDP 포트 값뿐만 아니라 URL이나 쿠키 정보를 이용하여 웹 데이터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부하 분산 기능을 수행 Web 스위칭 구현 방식 URL 파싱을 통한 서버 부하 분산 URL 파싱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형태의 파악이 가능 정확한 서버군의 위치 파악이 가능 쿠키와 SSL ID를 이용한 지속성 유지 HTTP 세션은 TCP를 기반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본격적인 데이..
CDMA 통신 개요 디지털 통신의 다중 접속 방식은 크게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나눌 수 있음 TDMA 방식 하나의 반송파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면서 시간축을 여러 개의 시간 구간으로 나누어 각자 자기에게 할당된 시간 구간을 다른 사용자의 시간 구간과 겹치지 않도록 하는 다중 통신 방식 미국, 유럽, 그리고 일본 등에서 실용화됨 CDMA 방식 여러 사용자가 주파수와 시간을 공유하면서 각 사용자에게 의사 임의 시퀀스(Pseudo Random Sequence)를 할당하고, 각 사용자는 송신 신호를 확산(Spreading)하여 전송하며, 수신부에서는 송신측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
개요 원격지의 데이터 단말 장치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신속히 중앙 처리 장치로 보내 처리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계와 데이터 처리계로 구성되어 있음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를 운반하는 것, 데이터 처리계는 운반되어 온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 처리 방식은 보내온 데이터를 즉시 처리하는 즉시 처리형과 보내온 데이터를 저장후 일괄 처리하는 배치 처리형 2가지가 있음 데이터 전송계의 주요 장치 데이터 단말 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접점에 위치 단말 장치의 역할은 발생한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보내거나 시스템 속에서 처리 및 가공된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에게 보내 주는 창구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CE; Data Circuit..
개요 신호 방식 전화를 걸 때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 다이얼 번호와 각종 제어를 위한 정보를 주고 받게됨 전화 상대방까지 회선을 연결하기 위해 주고 받는 정보를 신호라 하는데, 어떤 신호를 어떤 순서에 맞추어 어떤 방법으로 주고 받을 것인가를 정하는 것을 신호 방식이라 함 신호 방식에는 전화기에서 교환기 사이에 주고 받는 '가입자 신호 방식'과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서 주고 받는 '국간 신호 방식' 두 가지가 있으며, No7 공통선 신호 방식은 국간 신호 방식의 일종 국간 신호 방식 국간 신호란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 주고 받는 각종 신호 방식 국간 신호를 보내는 방법에는 개별선 신호 방식과 공통선 신호 방식의 2가지가 있음 개별선 신호 방식 스탭 바이 스탭 교환기와 크로스바 교환..
위성 통신의 발전 적도 상공 36,000Km의 원 궤도에서 지구의 자전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인공위성은 24시간 공전 주기를 가지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정지되어 있는 것 처럼 보이는데, 이를 통신용 중계기로 사용하면 우주의 중계국이 됨 정지 위성의 원리 인공위성이 지구의 주위를 계속해서 돌고 있는 것은 지구가 매 초 465m 속도로 자전하면서 태영의 주위를 매 초 30Km 속도로 공전하고 있기 때문 정지 위성은 지구에서 볼 때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구에서 약 36,000Km 상공의 궤도를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와 같은 속도로 24시간 지구의 주위를 돌고 있음 정지 위선은 파킹 궤도, 트랜스퍼 궤도, 드리프트 궤도를 거쳐 정지 궤도로 쏘아 올리며, 파킹 궤도는 우선 로켓을 수직으로 쏘아 올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