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의 - 주요 프로젝트 성과물과 프로젝트 작업을 보다 작고 관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 세분
- WBS란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성과물을 산출하기 위해 프로젝트팀이 시행할 작업을 성과물 중심으로 분할한 계층 구조 체계
- 최하위 작업 분류 체계 구성 요소에 포함된 계획된 작업을 '작업 패키지'라고 하며, 이 패키지 단위로 일정을 계획하고 원가를 산정하고, 감시 및 통제가 가능
입력 | 도구와 기법 | 결과물 |
|
|
|
-
WBS 작성의 5가지 원칙
- 방법론 이용 원칙 : 단계(Step), 작업(태스크(Task) 또는 활동(Activity)) 등이 정의된 WBS 방법론 이용
- Two-week 원칙 : 작업 단위를 2주 이하의 단위로 세분화
- One-week 원칙 : 1주 미만의 작업 단위는 One-week 법칙에 따라 작업 단위를 통합
- Six-month 원칙 : 향후 6개원 이후의 작업은 요약 레벨(Summary Level)에서 정의
- 장기 계획 원칙 : 향후 6개월 이후 계획은 Phase 레벨에서 계획
-
WBS 작성의 이점
- 관련 당사자 간에 프로젝트 범위에 관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함
- 프로젝트 수행을 일관성 있게 추진 가능하게 함
- 프로젝트 팀의 이해 내용을 문서화
- 산출물에 대한 책임의 명확한 정의
- 일정 수립의 중요한 근간
-
WBS 작성의 가이드 라인
- Top 수준에서 출말(프로젝트 명이 1st Level)
- WBS 산출물에 대해서는 명사형을 사용
-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Box를 만들지 않음
- 고객과 합의된 것을 바탕으로 WBS 상위 수준을 구성
- 1 Task는 5일 이상의 기간이 될 수 있도록 조정(One-week 원칙)
- 1 Task는 최대 10일 이내의 기간을 갖도록 조정(Two-week 원칙)
- 대상 범위 밖은 요약 레벨로 나타냄(Six-month 원칙)
-
프로젝트 모니터링을 위한 베이스라인으로 사용 가능해야 함
-
관리 원칙 및 특징
- 프로젝트를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요약 작업의 하위 작업에는 관련된 모든 범위를 포함
-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최상위 개요 수준을 프로젝트의 생애주기와 유사하도록 분류
- 제조, 건설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산출물을 기준으로 분류
- 요약 작업 별 중요 시점을 분명히 하고 분류 작업 시 프로젝트 구성원 전체가 참여
- 각 단계는 관리 가능한 최소 단위로 분류
- WBS는 일정 관리도구가 아님(범위 관리 도구)
- WBS의 최하위 단위work package or cost account]
- 통상단위 work package는 80시간(2주) 내외의 기간을 가지도록 분해
- WBS의 분해는 각 Work Package 별로 일정과 원가를 산정 가능할 때까지 실시
- 분해 단위가 작을수록 관리의 정확성이 높아지지만, 관리 공수가 많이 소요됨
-
분할 - 프로젝트 작업 및 성과물을 작업 패키지 수준으로 정의될 때까지 세분화 하는 것을 의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