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프로세스 상태하나의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동안 그 프로세스는 일련의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즉 하나의 프로세스가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되어 완료될 때가지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상태 변화를 거치면서 수행
-
실행(Run) 상태프로세스가 중앙 처리 장치(CPU)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
-
준비(Ready) 상태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상태
-
대기(Block) 상태프로세스가 입.출력 완료 등과 같은 어떤 사건이 일어나 주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
-
-
프로세스 상태 전이(Transition)프로세스 상태 전이란 하나의 작업이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되어 완료되기까지 프로세스의 상태가 준비 상태, 실행 상태 및 대기 상태 등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
-
실행 상태에서의 전이
-
시간 초가(Timer Runout)
- 어떤 프로세스가 CPU를 계속 독점해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 주어진 시간 내에 작업이 끝나지 않으며,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운영체제로 하여금 프로세스의 제어권을 강제로 인수하게 하는 것
- 실행 상태에서 준비상태로 전이하는 것
-
블록(Block)
- 실행 상태의 프로세스가 지정된 시간 이전에 입.출력이나 기타 다른 수행을 필요로 하는 경우, 그 프로세스는 스스로 프로세서를 양보하게 됨
- 스스로 실행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이하는 것
-
-
준비 상태에서의 전이
-
디스패치(Dispatch)CPU가 준비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취하여 실행 상태로 전이하는 것
-
-
대기 상태에서의 전이
-
깨움(Wake-up)입.출력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스스로 대기 상태로 전이했던 프로세스가 작업이 완료되어 대기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이한는 것
-
-
-
스레드(Thead)
-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부담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의 다른 표현 방식
- 프로세스 내부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
- 멀티 스레딩이란,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가 수행되는 경우를 의미
- 각각의 스레드는 독립된 제어 흐름을 가지고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그룹 내에 속하는 다른 프로세스와 코드, 주소, 공간, 자원 등을 공유
반응형
'밥벌이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개요 (1) | 2011.12.01 |
---|---|
PCB(Process Control Block, 프로세스 제어 블록) (0) | 2011.12.01 |
인터럽트의 개요 (0) | 2011.10.05 |
인터럽트의 종류 (0) | 2011.10.05 |
인터럽트의 구조 및 처리 (0) | 201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