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SDH(동기식 디지털 계층,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 SDH의 '동기'는 물리계층의 동기로서 다중화된 고속의 신호상에서 저속의 신호가 직접적으로 추출 가능함을 의미하며, 이는 PDH와 상반된 기능
- ATM의 '비동기'는 일련의 셀의 흐름에서 한 채널이 점유하는 셀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지지 않음을 의미하는 ATM 계층의 비동기를 의미
- STM(동기식 전송 모듈, Synchronous Transfer Module)은 SDH의 전송 단위로, 기본 단위는 STM-1
-
STM의 기본 구조는 9행 * 270Byte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며, 1초에 8000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STM-1의 전송 용량은 8000 * (9*270Byte) * 8Bit = 155.52Mbps
-
SDH 다중화 구조
-
상자(Container)
- 기존의 PDH신호를 수용하는 기본 단위로 5종류가 있음
- C11(T1 수용), C12(E1 수용), C2(DS-3 수용), C3(DS-3 수용), C4(E4 수용)
-
가상 상자(VCon; Virtual Container)상자에 목적지와 기타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를 추가함
- 고위 가상 상자로서 VCon3과 Vcon4가 존재하며, 저위 가상 상자로서 VCon2, VCon11, VCon12이 존재함
-
관리 단위(AU; Administrative Unit)VCon3, VCon4에 포인터를 붙여 만들고,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단위이며, 포인터로 바이트 단위를 동기화 함
-
관리 단위 그룹(AUG)
- STM 프레임에 실리기 위해 구성되는 관리 단위의 집합
-
VCon3는 3개가 모여서 AUG를 이루며, VCon4는 그 자체로 AUG가 됨(ATM 트래픽이 PDH를 거치지 않고 직접 SDH에 실리는 경우에는 VCon4만 사용)
-
-
SDH 전달망의 필요 장비
-
다중화/역다중화 기능TM(Terminal Mode Multiplexer) : 점 대 점 형식의 SDH망을 구성할 수 있음
-
결합/분기 기능ADM(Add Drop Multiplexer) : 링 토플로지를 갖는 SDH망을 구성할 수 있음
-
교차 연결(Cross-Connect) 기능DCS(Digital Cross Connector) : 메시 형태의 토플로지를 갖는 SDH망을 구성할 수 있음
-
-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 음성 채널은 나이퀘스트 이론에 의해 초 당 8000번 샘플링되고, 샘플링한 값은 8bit로 양자화 됨
- 1채널은 8000 * 8 = 64000 64Kbps이고, TDM(시분할 변조 방식)이라는 동기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프레임은 125㎲임
-
프레임의 구조를 결정짓는 음성 채널의 수에 따라 2가지 종류가 있음
-
T1
- 미국과 일본에서 시작되었고, 24개의 음성 채널로 프레임을 구성
- 이 24개의 음성 채널에 프레임의 정렬 최소의 신호 서비스를 위해 1bit가 추가됨
- 전체적인 전송률 : (24 채널 * 8 bit/channel + 1bit) / 125㎲ = 1.544Mbps
-
E1
-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30개의 음성 채널로 프레임을 구성
- 30개의 음성 채널에 음성 채널과 같은 용량을 갖는 2개의 채널이 추가됨
- 전체적인 전송률 : (32 채널 * 8 bit/channel + 1bit) / 125㎲ = 2.048Mbps
-
-
문제점
- 상위 계층으로 다중화될 수 있으나 역 다중화 시 문제가 발생
- 각 채널이 정확한 타입슬롯을 할당받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음
- 링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가 어려움
-
해결책
-
Add & Drop 다중화기(AMDs)장비가 개발되어 어떠한 레벨에서든지 원하는 신호를 삽입하고 뽑아낼 수 있게 되었고,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됨
-
-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
- SONET은 T1 위원회에서 승인된 광 전송 표준으로 9 * 90Byte의 구조이므로 SDH를 수용하려면 배율 조정이 필요
- STS-1을 기본 단위로 하여 3배수로 다중화 됨
- SONET은 SDH와 마찬가지로 계층화 구조 개념, 일단계 다중화, 포인터에 의한 동기화, 체계적인 오버해드 사용 등의 공통점이 있음
- 광 전송 단위(OC; Optical Carrier)
전송 단위 | 전송률(Mbps) | SONET | SDH |
OC-1 | 51.84 | STS-1 | |
OC-3 | 155.52 | STS-3 | STM-1 |
OC-9 | 466.56 | STS-9 | |
OC-12 | 622.08 | STS-12 | STM-4 |
OC-48 | 2488.32 | STS-48 | STM-16 |
-
광 손실
-
산란 손실직경이 파장 정도의 크기를 갖는 물체에 닿았을 때 여러 방향으로 산란하므로 생기는 손실
-
흡수 손실불순물에 흡수되면서 일부가 열로 유실되는 현산
-
구조 불안정 손실코어, 클래딩 경계면 등 구조의 불균일에 의해 생기는 손실
-
마이크로벤딩 손실제고 과정에서 광섬유의 축이 미세하게 구부러져서 발생하는 손실
-
-
분산
-
모드 분산다중 모드 광섬유에서만 발생하며, 파장 간의 전송 속도 차이에 따른 분산
-
색 분산유리의 굴절률이 빛의 파장(스펙트럼)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파형이 벌어지는 현상
-
구조 분산광섬유의 구조 불안정으로 인해 축과 이루는 각이 광선의 경로에 따라 변해 도착 시간에 차이가 생기는 현상
-
반응형
'밥벌이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SDN (0) | 2011.05.18 |
---|---|
ATM 교환망 (0) | 2011.05.18 |
WDM 전송망 (0) | 2011.05.18 |
IP over ATM, DWDM (0) | 2011.05.18 |
광 인터넷 전송 기술 (0) | 201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