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개괄
- 웹3.0의 핵심은 시맨틱 웹으로 컴퓨터도 Context를 이해하여 검색어의 의미에 맞는 답변을 제공하게 되며, 지금처럼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파편화될수록(fragmented) 시맨틱 웹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출/출제 예상 문제 리스트 >>
번호 | 기출 문제 및 출제 예상 리스트 | 비고 |
1 | 웹3.0의 개념, 웹2.0과 3.0의 비교, 그 적용 사례와 국내의 진행현황에 대해 설명하시오 | 출제예상문제 |
<< 오브젝트 설명 및 문제 풀이 >>
- 웹3.0의 개념과 특징
- 웹3.0의 개념
- 웹2.0의 "공유", "참여", "개방"에서 "개인화", "지능화"라는 단어로의 진화한 개념, 지식과 네트워크 중심의 데이터와 정보를 주문 제작하는 개인화 과정으로 지능화된 웹 한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웹의 개발이나 활용의 방향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함.
- 웹3.0의 특징
특징 | 성명 |
개인화 | 개인에 초점을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직관적이고 개인적인 정보를 제공 |
지능화 및 상황인식 | 지능화된 웹이 시맨틱 기술을 이용해서 상황인식을 통해 이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 |
- 웹2.0과 3.0의 비교
구분 | 웹 2.0 | 웹 30 |
정보 가치 | 정보 제작능력 | 정보 검색 능력 |
| 공유가치( -> 수익모델) | 개인 맟춤정보 |
정보 이용자 | 인산 | 인간, 기계 |
정보 권력 | 대형화 집중화 (대형플랫폼) | 분산(필요한 정보만 선별) 과다정보로 대형화 불가한 시대 |
플랫폼 형태 | 참여, 공유, 개방 | 시맨틱웹 기반 |
주 수익모델 | 광고 |
|
기반기술 | 서버 관리 능력 | 상황인식 센싱 및 연계기술 |
- 웹3.0 적용 사례
- 핀란드의 ONKI
- ONKI는 시맨틱 웹 온톨로지 인프라 스트럭처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개발하려는 핀란드의 National Semantic Web Ontology project FinnONTO(2003-2010)의 주요 프로젝트 중의 하나
- 온톨로지 공공도서관 시스템인 ONKI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웹상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메타데이터에 연결해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제공한다.
- ONKI의 주요 시범 애플리케이션 중 Health Finland는 시민들의 건강관리를 촉진시키기 위한 포탈로 다이터트, 운동 금연, 건강 생활 등에 관한 콘텐츠를 온톨로지와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포털에 집합적인 콘텐츠를 제공한다.
- '다이어트'에 대해 검색을 하면 온톨로지 맵을 따라 '다이어트' 뿐만 아니라 관련 개념인 '몸무게 조절', '체중 감량', '식이요법', '에너지 섭취' 등의 하위 개념이 나타난다.
- 영국의 BBC
- 대량의 온라인 콘텐츠 이용의 한계 때문에, BBC 프로그램과 BBC 음악 사이트는 출연진, 장소, 주제, 프로그램 등 특정한 관계가 있는 것들을 서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시도하고자 Wikipedia처럼 데이터를 공동으로 올리고 편집할 수 있는 Dbpedia를 적용
- DBPedia는 단순히 연결된 데이터의 URI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 연결 알고리즘의 핵심인 개념간 관계에 따라 구조화된 데이터를 제공해 데이터의 활용률을 높임
- 국내의 적용사례 및 전망
- 국내의 적용 사례
- 네이트
- 검색어와 관련된 개념을 주제별로 묶어 그 대분류에 속한 통합 검색을 제공
-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구문분석, 데이터마이닝 기술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처리, 주제별로 검색결과를 분류하고 예상답변을 바로 추출해 이용자의 정보탐색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
- Ontoframe : 정보를 검색하고 내재된 지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맨틱 서비스 플랫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지식경제부 국가 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법무부
- 전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