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대비 용량 증대 하나의 대형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보다 크기가 작은 여러 개의 디스크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큰 용량을 가진 디스크 단위로 사용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더 큰 용량을 가진 디스크 서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 성능 향상 디스크는 컴퓨터의 프로그램 실행 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온라인 보조 저장 장치이기 때문에 액세스 속도와 신뢰도 향상이 디스크 용량의 증가만큼이나 중요하며, 디스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액세스 시간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여야 함 디스크 용량을 높이기 위해 배열 구조로 연결한 다수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게 되면, 그 디스크들을 동시에 액세스(즉, 병렬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 어떤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
구성 요소 구성요소 내용 RAID 전용 컨트롤러 스트라이핑과 패리티 제어 기능 캐시 메모리 디스크 컨트롤러 성능 향상 스트라이핑 데이터 레코딩 방식 I/O 전송 기능 향상 미러링, 패러티 데이터의 안정성 보장 Hot-swap 및 On-line Data Rebuild 무정지 구동 및 유지보수 ▶ RAID의 구성요소 및 내용 RAID의 특징 고용량, 고속의 I/O 성능 발휘 구성 요소의 이중화로 장애 방지(Fault Tolerant)를 하므로 신뢰성 보장 다수의 I/O 처리로 병목현상 최소화(디스크 스트라이핑을 통한 분산 I/O 처리) 미러링 및 패리티 체크를 통한 데이터 안정성 구현 모듈식 확장으로 확장성 제고
RAID의 정의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기억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대용량 고가 디스크 장비를 대체 하는 기술이며, 디스크 스트라이핑 기법을 이용해 장애 발생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기법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하나의 가상 디스크로 구성한 대용량 저장 장치 RAID의 확산 배경 대용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하드웨어 요구 저가, 대중화, 대용량, 공급 확대 등에 적합한 기술 개발이 필요 1987년 버클리 대학에서 RAID 기술을 발표하여 상용 디스크 제품에 적용 디스크 스트라이핑(Disk Striping)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분산되어 있는 파티션을 1개의 볼륨으로 합쳐 주는 데이터 스토리지 방식 파티션이 서로 다른 디스..
클러스터링(Clustering)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가변적인 업무 부하를 처리하거나, 이중에서 한 대가 고장이 나더라도 나머지 컴퓨터로 운영이 지속되도록 하여 , 마치 하나의 컴퓨터처럼 행동하도록 서로 연결해 놓은 것 특징 마치 하나의 컴퓨터처럼 행동하도록 서로 연결함으로써 병렬 처리, 부하 분산 및 고장 대비에 활용할 수 있음 클러스터 컴퓨터의 구조는 하드웨어, 운영체제, 클러스터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 순으로 구성 서버 한대에 집중된 사용자들을 여러 대로 분산시켜 네트워크와 시스템의 과부하를 분산 시킬 수 있음 기존 고성능 서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할 수 있고, 사용자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카드 , CPU, 메모리 등의 추가로 확장성이 높음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시스템으로 즉시 교..
정의 정보 기술에서 고가용성 시스템이란, 바람직한 정도로 긴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나 컴포넌트를 의미 가용성이란 흔히 '100% 가용'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측정되거나 또는 '절대 고장 나지 않음' 등과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고장 발생시 빠른 시간 내에 수리하여 다시 정상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 사용하는 척도 고가용성 시스템이란, 장애를 최소화 하도록 관리하거나 예상된 다운타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서비스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된 시스템을 의미 등장 배경 정보화 사회에서의 조직 활동이 시스템 기반 위에서 진행되면서, 시스템이 중단되면 조직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 시스템의 가용성을 확대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음..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