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 프로젝트의 결과가 품질 표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고 불만족스러운 결과의 원인을 제거하는 프로세스
입력 | 도구와 기법 | 결과물 |
|
|
|
-
품질 통제 기법
- 인과 관계도(Cause and Effect Diagram)
원인-결과 다이어그램 또는 이시카와, 어골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다양한 요인들이 어떻게 잠재적인 문제나 결과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줌 - 관리도(Control Chart)
프로세스가 통제 사항을 벗어나게 되는 변동이 특수 원인으로 인해 유발되는 시기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 수집 도구로서, 프로세스의 안정성을 확인 하는데 사용됨 - Pareto도(Pareto Chart)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원인이(20%)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문제나 결함(80%)을 발생시킨다는 Pareto 법칙을 개념적으로 적용한 도표 - 런 차트(Run Chart)
변이의 기록과 패턴을 보여주기 위해 데이터 점을 발생 순서로 표시하는 직선 그래프로, 시간 경과에 따른 프로세스의 추세 및 변이, 프로세스 수준의 하강 또는 상승을 보여줌 - 산점도(Scatter Diagram)
두 변수 간에 있어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끼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기법으로,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간의 함수로 그려지며 점들의 대각선에 근접할 수 록 더 밀접하게 관련됨
- 인과 관계도(Cause and Effect Diagram)
- 주요품질통제(Quality Control) 도구
구분 | T&T | 설명 |
부적합 식별 및 수정 | Control Chart | 프로세스가 예측할 수 있고 안정적인지 판단 |
Inspection | 산출물이 표준에 부합하는지 여부 평가 | |
Run Chart |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프로세스 및 성과 추이 분석 | |
Defect Repair Review | 제3부서에서 식별된 결함을 정확하게 수정 하는지 평가 | |
부적합 유형 분류 및 우선순위 결정 | Histogram | 특정 변수의 빈도수를 그래프로 표현 |
Pareto Diagram | 결함 원인을 빈도 수순으로 Histogram 형태로 표현효과가 큰 원인부터 수정 | |
Cause Effect Diagram | 주요 원인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의 관계를 생선뼈 모양으로 체계적으로 표현 | |
원인분석 | Flowchart | 문제의 발생경과를 프로세스 흐름으로 표현 |
Scatter Diagram | 두 변수의 상관관계를 x,y축으로 표현하여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를 추정 | |
기타 | 통계적 샘플링 (Statistical Sampling) |
품질통제 활동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모집단에서의 샘플 추출 방법 |
-
제어도(Control Chart)
- 공정이나 프로세스의 안정성 여부 혹은 예측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도구
- Random cause와 Special cause의 개념을 활용하여 이상요인이 발생했는지 탐지하거나 제품에 대한 합격/불합격을 판정
- in control : random variation은 발생하지만, 통제할 수 있는 special variation은 없는상태
(special variation은 원인을 규명 해야 함 = assignable cause 라고도 한다) - out of control : 결과가 상한선(UCL)이나 하한선(LCL)을 벗어나는 경우
- 7 rule : 7개이상의 연속되는 포인트가 특정 패턴을 보이는 경우
(한 방향 계속 증가 / 계속 감소, 평균을 중심으로 한 부분에 만 위치) - Hugging : 평균을 중심으로 어느 한 부분에 2/3이상이 몰려 있는 경우
-
Pareto Diagram
- 발생빈도에 의해 만들어지는 히스토그램
- 용도 : 확인된 원인의 형태나 범주가 어느 정도의 결과를 일으키는지 보여줌
|
-
특성 요인도(Cause Effect Diagram)
- 어떻게 다양한 원인들이 잠재적인 문제 또는 결과를 일으키는데 관련 되는지 보여줌
- 용도 : 어떤 결과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움
- Fish-bone diagram, 이시카와(ishikawa) 라고도 불림
-
산점도(Scatter Diagram)
- 사람의 키와 몸무게 처럼 서로 관련이 있는 두 변수에 대해서 특성(결과)과 요인(원인)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 하고자 할 때 사용
- 용도 : 발생한 현상에 대한 상관 관계를 파악하여 결함의 원인을 해결함
(문제해결을 위한 사전 원인 조사 단계)
-
히스토그램(Histogram)
- 데이터가 존재하는 범위를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각 구간에 들어가는 데이터의 발생 빈도수를 체크하여 막대 그래프로 작성한 그림으로서 DATA분포의 형태를 쉽게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작성
-
정형 기술 검토(Formal Technical Review)
- Walkthrough, Inspection, Review 등의 기술적 평가를 포함 하는 검토를 의미
- FTR의 주관심사는 SW컴포넌트로서의 프로덕트임
-
목적
- 조기 결함 발견 및 예방을 통한 품질 비용의 최소화
- 사용자 요구사항과 일치하며 표준 등의 준수 확인
- 기능과 로직의 오류 발견
-
주요 유형간 비교
- 품질통제(Quality Control) vs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구분 | 품질통제 | 품질보증 |
주 활동 |
|
|
대상 |
|
|
핵심 산출물 |
|
|
주체 |
|
|
핵심 도구 |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