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개요
- ITS의 정의
- 기존의 교통 체계를 정보통신, 전자, 제어, 컴퓨터 등의 첨단 기술과 접목시켜 교통의 이동성, 안전성, 효율성 및 교통 환경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새로운 교통체계
- 전 세계적으로 교통량이 갈수록 증가하여 물류 비용 등 수송 비용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으나, 서울시만 해도 1%의 도로율을 높이는 데 약 3조원이 소요되므로 산업화된 모든 국가들은 범국가적으로 기존 도로의 효율적인 사용에 매우 큰 관심을 보임
- ITS의 등장 배경
-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로 정체가 심화됨
- 자동차 정체로 인한 물류 비용의 증가 등으로 결제적 손실이 초래됨
- 물류 비용의 절감 효과는 기업 경쟁력의 제고 수단이 됨
- 유.무선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및 자동차 관련 연구 개발이 활발해짐
- ITS의 목표
- 교통 시설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여 교통 혼잡이 완화됨
- 도로 및 차량의 안전 체계 확충으로 교통 혼잡이 완화됨
- 대중 교통의 정보화 및 첨단화를 통해 대중 교통의 이용이 확대됨
- 물류 수송 체계의 정보화 및 과학화로 물류비가 절감됨
- ITS의 주요 기능 및 요소 기술
- 주요 기능
- CNS(Cat navigation System)
차량의 현 위치 및 최단 경로로 목적지 안내 등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지구 상공의 저궤도 인공위성과 삼각 측정 원리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가 추적됨
-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자동차의 흐름 및 정체 정보를 자동적으로 파악됨
- ATIS(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여행자가 원하는 지역의 위치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안내
-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대중 교통 노선, 체증 현황 및 신호 대기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
- 요소 기술
- 멀티미디어 처리 기술 : 전자 수치 지도의 데이터 관리
- UI 기술 :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 전송 기술 : 위성통신, 무선 통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송 기술
- SW 및 HW 기술 : 차량간 충동 방지 및 충돌 시 경보 장치, 차량 간 간격 제어 기술, 자동 운전 장치, 졸음 방지 기능, 자동 요금 징수, 돌발 상황 방지 등
- 향후 전망
- 물류비의 증가, 자동차의 급증으로 인한 교통 체증 등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의 해결 수단으로 활용됨
- 사용자 안전과 사용 시의 친숙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
- 기반 기술 확보를 위한 국내 기업의 연구 투자 증가
- 핵심 부품의 연구 개발 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세제 지원이 필요
반응형
'밥벌이 >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 (0) | 2010.09.13 |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1) | 2010.09.13 |
CRM(Computer Relation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0) | 2010.09.13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0) | 2010.09.13 |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0) | 201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