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소프트웨어 공학 패러다임 또는 SDLC) SDLC(System Development Life Cycle)의 정의 소프트웨어 타당성 조사로부터 개발, 유지보수,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하나의 주기로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델화한 것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방법, 도구에 일반적 소프트웨어 공학 프로세스 단계가 통합된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SDLC의 출현 배경 소프트웨어 위기로 인한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의 필요성 개발 과정의 효과적 수행 방안 필요 프로세스 적용 목적 품질, 일정, 비용 관리 등 프로젝트 통제 수단으로서의 활용 요구 사항 분석, 설계, 개발, 구현 등 개발의 전반적인 공정(프로세스) 관리 SDLC 특성 및 기능 특성 문제 유형, 시각, 개발 방..
계층형 데이터 모델 트리구조로, 개체 타입에 대한 관계를 표현 개체 타입을 노드(Node)로 표현하고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를 링크(Link)로 연결한 트리 형태의 데이터 구조 모델 링크는 두 개체 타입 간의 연관성을 표현 각 개체 타입은 속성의 집합 추상화하기 가장 쉬운 방법이며, 제일 먼저 사용 1960년대에 개발되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이 발표되기 전까지 보편적으로 사용 데이터 모델이 변경되면 스키마를 반드시 재구성해야 함 N:M 관계에 대한 표현이 불가능 IMS, System 2000 등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계층형 데이터 모델의 단점을 보완한 데이터 구조로, 그래프를 이용하여 표현 개체 타입을 노드로 표현하고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를 링크로 연결한 그래프 형태의 데이터 구조 모델 데이터 간의 관..
ER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 객체(Entity)와 관계(Relationship)를 이용하여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기법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에 사용되나, 이 모델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없음 확장 ER 모델(Extended Entity-Relationship Model) ER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화(Generalization)와 집단화(Aggregation)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추상적 기능을 추가해서 만든 ER 모델 재사용, 상속, 확장성 등의 개념을 적용해 현실 세계를 보다 정확하게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작성된 모델 개체(Entity) - 현실세계의 객체로, 유형 또는 무형의 정보 대상으로 존재하며,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것 ..
데이터 모델링의 의의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바람직한 모습은 현실 세계의 데이터와 똑같은 내용이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 모델링은 현실 세계를 추상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로서 표현하기 위한 방법 (즉,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컴퓨터 세계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데이터 관계, 데이터의 의미 및 데이터 제약 조건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 들의 집단 주요 모델링 방법 모델링 설명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고수준 데이터 모델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 ER 모델, 확장 ER 모델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표현(또는 구현) 데이터 모델 : 계층형, 네트워크형, 관계형, 객체형 고수준 모델과 저수준 모델 사이에 존재 일반 사용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 데이터 저장 구조..
개요 음성 신호의 전송 속도는 64Kbps이고 기존의 컴퓨터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한 전송 속도는 수십 Kbps에서 수 Mbps 정도이며, 다중화 기술은 넓은 대역폭을 가진 전송 선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신호(또는 데이터)를 동시에 실어 보내는 기술 다중화 기술은 다수의 저속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고속 데이터 스트림으로 집중하는 다중화와, 역으로 고속 스트림을 다수의 저속 스트림으로 분할하는 역 다중화 기술이 있음 종류로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분할 다중화, 파장 분할 다중화 등이 있음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 분할 다중화는 여러 신호를 전송 매체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 서로 다른 주파수 ..
개요 데이터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와 컴퓨터 2진 데이터 같은 디지털 데이터로 구분 데이터 인코딩 기법이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선로 특성을 감안하여 적합한 신호로 부호화 하는 것을 의미 신호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도 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로 전송할 때는 부호화기와 복호화기가 사용되고 ,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할 때에는 변조기와 복조기가 사용 데이터 인코딩 기법의 종류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 일반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조하는 경우보다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 아날로그 데이터는 표준화 및 부호화를 통해 우선 디지털..
개요 전송 매체는 OSI 7 계층의 물리 계층에 속하며,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누어짐 현재 많이 사용중인 유선 전송 매체는 꼬임선(Twisted Pair),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등의 구리선과 광섬유(Optical Fiber) 등이 있으며, 무선 전송 매체는 지상 및 위성 마이크로파와 리디오파 등이 있음 전송 매체에서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전송 매체 특성에 따라 다르며, 다음 그림은 통신 주파수 스펙트럼을 보여줌 꼬임선(Twisted Pair Cable) 비차폐 꼬임선(UTP; Unshielded Twisted Pair) 값이 싸고 설치가 쉬운 장점이 있으나, 외부 전자기파 간섭이나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음 UTP는 주로 전화 가입자 선으로 사용되며, LAN 선으로도 많이..
RAID-0 분산 저장하고 패리티가 없으며, 스트라이핑 처리를 함 데이터를 각각의 디스크에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분산 저장 데이터는 병렬로 기록되고, 디스크는 비동기로 동작하며, 높은 I/O 성능을 제공 장애 발생에 대비한 여분의 공간을 갖지 않으므로, 데이터 복구 기능은 없음 RAID-0은 장애에 대한 해결책이 없으므로 상용화되지 않음 Striping 방식과 Concatenated 방식이 있음 Striping 방식 Concatenated 방식 RAID-1 디스크 미러링을 수행 비경제적인 방법 장애 방지에 유용하며, 중요 데이터 처리 시에 사용 RAID 0 +1 : 스트라이핑 + 미러링 RAID-2 각각의 디스크는 동기화되어 모든 헤드는 항상 동일 부분에 위치 오류 수정을 위해 여분의 데이터로서 패리티 ..
가격 대비 용량 증대 하나의 대형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보다 크기가 작은 여러 개의 디스크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큰 용량을 가진 디스크 단위로 사용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더 큰 용량을 가진 디스크 서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 성능 향상 디스크는 컴퓨터의 프로그램 실행 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온라인 보조 저장 장치이기 때문에 액세스 속도와 신뢰도 향상이 디스크 용량의 증가만큼이나 중요하며, 디스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액세스 시간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여야 함 디스크 용량을 높이기 위해 배열 구조로 연결한 다수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게 되면, 그 디스크들을 동시에 액세스(즉, 병렬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 어떤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
구성 요소 구성요소 내용 RAID 전용 컨트롤러 스트라이핑과 패리티 제어 기능 캐시 메모리 디스크 컨트롤러 성능 향상 스트라이핑 데이터 레코딩 방식 I/O 전송 기능 향상 미러링, 패러티 데이터의 안정성 보장 Hot-swap 및 On-line Data Rebuild 무정지 구동 및 유지보수 ▶ RAID의 구성요소 및 내용 RAID의 특징 고용량, 고속의 I/O 성능 발휘 구성 요소의 이중화로 장애 방지(Fault Tolerant)를 하므로 신뢰성 보장 다수의 I/O 처리로 병목현상 최소화(디스크 스트라이핑을 통한 분산 I/O 처리) 미러링 및 패리티 체크를 통한 데이터 안정성 구현 모듈식 확장으로 확장성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