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인터넷에서는 QoS 보장을 요구하는 새로운 응용 서비스들의 등장과 함께, IP QoS는 차세대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등장 현재의 인터넷은 Best effort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에 따른 패킷의 손실 또는 지연 등의 QoS에 대한 요구 사항을 보장해 주지 못하고 있음 QoS를 지원하기 위해 IETF에서 제안한 방식 중 대표적인 것이 IntServ(Integrated Service)와 DiffServ(Differentiated Service)임 QoS 레벨 패킷의 성능은 대역폭, 지연, 지터, 패킷 손실 등의 항목으로 평가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요구 조건들에 의해 서비스들을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됨 Best-effort 서비스 기본적으로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거나..
광대역 서비스 고속 전송을 위한 광대역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로, 2M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로 정의되며, 베어러(Bearer) 서비스와 텔레(Tele) 서비스로 구분 베어러 서비스 망 입장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 텔레 서비스 사용자 입장의 응용 서비스(음성, 문자, 이미지, 영상 통신 등)를 제공하는 서비스 광대역 서비스 발전 과정 교환.전송 분리 방식 다수의 음성 통신을 F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교환 처리를 위해서는 먼저 역다중화 한 후에 아날로그 공간 분할 교환기를 사용 디지털 전송 시스템(T1, E1) 개발 디지털 시분할 교환기 개발 교환.전송 결합 방식 TDM으로 다중화된 신호가 그대로 교환기에 들어와 역다중화 없이 타임 슬롯을 교환 처리 유사 동기 디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개요 B-ISDN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 가변적인 정보의 고속 처리를 필요로 함 ATM은 정보가 발생할 때 마다 셀을 할당 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크기를 작은 단위로 고정시켜 하드웨어적인 고속 처리가 가능 기술적 배경 회선 모드와 패킷 모드 회선 모드 다중.분리 교환은 위치 식별을 위한 카운터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간단하고, 고속화가 용이한 하드웨어 구현이 가능하나 회선 이용 효율이 떨어짐 고속화가 가능하지만 망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운영(고정된 타임 슬롯의 위치로 회선을 식별) 패킷 모드 발생하는 정보량에 따라 패킷을 전송하므로 망 자원은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제어가 복잡하므로 고속화에는 부적합 가변 전송률의 정보를 효..
SDH(동기식 디지털 계층,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의 '동기'는 물리계층의 동기로서 다중화된 고속의 신호상에서 저속의 신호가 직접적으로 추출 가능함을 의미하며, 이는 PDH와 상반된 기능 ATM의 '비동기'는 일련의 셀의 흐름에서 한 채널이 점유하는 셀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지지 않음을 의미하는 ATM 계층의 비동기를 의미 STM(동기식 전송 모듈, Synchronous Transfer Module)은 SDH의 전송 단위로, 기본 단위는 STM-1 STM의 기본 구조는 9행 * 270Byte로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며, 1초에 8000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STM-1의 전송 용량은 8000 * (9*270Byte) * 8Bit = 155.52Mbps SDH 다중화 구조..
WDM(Wavelength Digital Multiplexing)의 개요 SDH/SONET 와 함께 TCP/IP, ATM과 같은 상위 계층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하는 하위 계층 네트워크 기술 WDM 광 계층은 모든 상위 통신 계층 스택에 대한 하부 계층을 제공하며, 광 전송 매체를 제공 WDM의 다중화 기능으로 인해 WDM 광 계측은 다중화, 계층화, 분기 결합, 교차 연결, 그리고 망 운용 및 관리를 포함하는 포괄적 기능을 가짐 WDM의 특징 전송 소실이 가장 작은 파장은 1.55㎛이고, 색 분산이 가장 작은 파장은 1.31㎛ 4~8개 레이저 파장을 동시에 전송해 20G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 DWDM(Dense WDM) 1.55㎛ 전후의 Pass Band 내에서 파장간 간격을 촘촘히 하여 8개 이상(..
IPoA(IP over ATM) IPoA는 구조가 다른 ATM과 TCP/IP의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고속 ATM망에서 라우터의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IP ATM 비연결형 IP 패킷별로 망의 혼잡도에 따라 전송 경로 선택을 달리 할수 있음 패킷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가변적임 라우팅 테이블을 조회하는 L3 Forwarding 방식이므로 속도가 느리고 가변적임 연결 지향형 제어 신호를 이용해 사전에 전송 경로(VC)를 설정 경로를 개설하는 오버헤드가 있지만, 복잡한 테이블의 조회없이 거의 자동적으로 교환 처리하는 L2 스위칭 방식 짧고 고정된 길이의 셀을 고속 전송 IP와 ATM의 연동 방식 오브레이(Overlay) 모델 기존의 두 체계(IP, ATM)의 틀을 그대로 유지(고유한 주소 체..
배경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의 개발로 광섬유 한 가닥으로 전송 용량이 수 백 Gbps에 이르는 등 거의 무제한 급의 전송 속도 구현이 현실화 광 증폭기, 레이저, 필터 등 광소자 기술도 함께 발전 OADM(Optical Add Drop Multiplexing)이나 OXC(Optical Cross Connector)와 같은 광 다중화기도 등장 IP ATM IP over STM 1985년 NSFnet이 등장하면서 56K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1989년에는 T1(1.544Mbps), 1991년에는 T3급으로 향상 IP over ATM 1994sus vBNS가 미국의 선도 시험망으로 구축되면서 ATM 기반의 IP 네트워크가 등장 전송 속도는 1994년 OC-..
새로운 헤더 형식 IPv6 패킷의 헤더는 헤더의 내용을 확인하는 데 소요되는 부담(오버헤드)을 최소화하도록 설계 IPv4에서 중요도가 떨어지는 필드와 옵션을 IPv6에서는 기본 헤더에서 분리해 확장 헤더로 옮김으로써, 기본 헤더에 포함되는 필드가 12개에서 8개로 감소 확장된 주소 공간 IPv6의 주소는 128비트로 표시되므로, 2128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어 인터넷 백본에서부터 소규모 사설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는 주소 공간을 갖게 됨 IPv4에서 IP 주소를 절약하기 위해 사용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같은 주소 변환 기술이 필요하지 않음 계층적 주소 할당 체계 ISP에서 상위 ISP가 할당받은 주소의 일부분을 할당받도록 하는 계층..
개요 구성 주소의 유형 및 서브넷(또는 링크)을 식별하기 위한 64비트의 Prefix 부분과 서브넷(링크)에서의 인터페이스(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64비트의 인터페이스 ID부분으로 구성 주소 할당의 기본 단위는 인터페이스 하나의 호스트가 여러 링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갖게 됨에 따라 주소도 여러 개가 되는데, 이들 중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도 그 호스트에 접속됨 주소 표기 8개의 16진수 4자리 숫자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표기 단 '0'이 연속되는 경우 한 번에 한해 두개의 콜론(::)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4자리 숫자 중 앞선 '0'은 생략이 가능 Prefix 표기는 주소 후미에 '/' 를 붙인 후 Prefix의 길이를 표기 IPv6 주소 분류 Unicast 주소 단일 인터페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