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중앙 서버에 직접 연결된 단말 대신 인터넷으로 연결된 원격의 단말들도 마치 서버에 직접 연결된 것처럼 서비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기능 예전에 사용되던 중앙 집중형 서버는 자신들의 운영체제마다 고유한 터미널들을 사용하므로 문자 처리 방식이 운영체제별로 다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TELNET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서버로 전송할 때 통일된 NVT(Network Virtual Terminal) 문자열로 변환해야 함 TELNET 클라이언트가 입력된 문자들을 서버로 전달하면, TELNET 서버 프로그램은 전달된 문자들을 가장 터미널 드라이버에 보내어 처리되도록 함
개요 FTP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의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 작업을 위해 2개의 TCP 연결을 사용하는데, 각각의 연결로는 제어 연결로와 데이터 연결로가 있음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 연결로에서 수행되고, FTP 명령어들은 제어 연결로를 통해 수행됨 FTP 연결 FTP 제어 연결 FTP 접속 및 동작 환경 설정, 데이터 전송 등을 실행하는 데 사용 사용자가 명령어를 송신하면 서버가 응답하는 형태 서버는 항상 TCP 포트 21번에 대해 passive open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대기하며, 요청이 들어오면 연결이 이루어짐 FTP 데이터 연결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연결 전달된 명령어에 의해 서버측의 TCP 20번 포트에서 사용자 측으로의 데이터 연결로 설정..
개요 HTTP는 웹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파일들과 데이터들을 주고 받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대부분의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들은 관리자들에게 HTTP 방식에 의한 원격 설정 기능을 제공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으로 동작하며, 요청/응답 동작을 기본으로 하는 프로토콜 HTTP 동작 과정 HTTP 연결 사용자가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게 보내는 것으로 시작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자원에 대해 원하는 방법으로 특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서버측에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처리 코드와 서버에 관한 정보, 자원의 정보, 요청한 자원이 포함됨 동작 순서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 송신 응답 메시지 송신 연결 종료 HTTP 사용자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로, 사..
개요 여러가지 네트워크 자원(서버, 브리지, 라우터 등)을 감독하고 제어 및 감시하는 동작을 망 관리라고 하는데,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TCP/IP 기반에서 이런 망관리 역할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SNMP의 구성 요소 SNMP 망 관리자와 에이전트 간에 시스템 관리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UDP 포트 161, 162를 사용 SNMP 매니저 SNMP 에이전트의 동작 상황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관리자의 역할을 담당 SNMP 에이전트 망을 구성하는 단말 및 교환 장치, 허브 등의 망 구성 요소에 설치되며, 자신의 동작 정보 및 고유 정보를 관리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각 망 장비들은 여러 개의..
개요 IP 주소와 시스템 이름 상호간을 변환하는 기능을 이름 해결(Name Resolving)이라고 하는데, 모든 유닉스/리눅스 시스템의 /etc/hosts 파일에는 자주 사용하는 시스템의 이름과 IP주소의 쌍들이 저장되어 있음 수많은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이름, IP 주소}의 쌍을 각 시스템에 있는 host 파일에 모두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 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네임 서버와 resolver 및 관련 프로토콜로 구성되는 DNS를 사용 DNS의 구성 네임 서버는 {시스템 이름, IP 주소} 쌍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하는 서버로 UDP 또는 TCP의 포트 53을 사용 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resolver로부터 수신된 질의에 대해 시스템 이름에 대한 해당 IP 주소 또는 IP 주소에 대한 해당 이름..
개요 DHCP는 동적 IP 주소 할당 프로토콜로서, 망 사업자들이 각 사용자들에게 IP를 동적으로 할당할 때 주로 사용 하드 디스크가 없는 단말들에 대한 IP 주소 정보를 할당 할 때 사용 동작 원리 RARP, BOOTP(Bootstrap Protocol)프로토콜의 기능과 유사하며, 사용자는 DHCP 서버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 임대 기간 중에 사용자는 임대 기간의 50%의 시간 이내에 서버로부터 할당 받은 IP 주소 정보들에 대한 재임대 요청을 시도해 야 함 재임대 요청을 하지 않은 사용자들의 IP 주소는 회수되므로, 망 사업자들은 실제 접속된 사용자들에게만 IP주소를 할당함으로써 한정된 IP 주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 DHCP는 UDP 상에서 BOOTP 메..
개요 NAT는 자신의 내부 망에 있는 여러 개의 단말들에게 설정한 사설 IP를 ISP로부터 할당 받은 하나의 공인 IP 주소로 매핑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 부터의 IP 트래픽들을 사설 IP로 변환하여 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 부족한 IP 주소 문제를 해결하고 TCP 트래픽의 부하를 내부 망에 있는 여러 개의 서버로 분산시키는 사용 NAT의 기본 개념 NAT의 IP계층에서 전달 과정은 라우터의 기능과 유사하지만, 라우팅 테이블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일반 라우터와는 성격이 다름 NAT는 IP Masquerading, Port Forwarding, Load Balancing의 용도로 사용 IP Masquerading 사설망 내부의 클라이언트들이 외부에 있는 서버에 접속할 때 이용하는..
PPP(Point-to-Point Protocol) 2대의 컴퓨터가 직렬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통신을 할 때 필요한 프로토콜로, 특히 전화 회선을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PC에서 자주 사용 대부분의 ISP들은 자신들의 가입자를 위해 인터넷 PPP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서버가 응답하고, 그 서버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응답을 다시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일을 가능하게 함 OSI 참조 모델과 비교하면 제 2계층에 대항하는 데이터 링크 서비스를 제공 본래 PPP는 컴퓨터의 TCP/IP 패킷을 포장해서 그것들이 실제로 인터넷으로 보내어질 수 있도록 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 PPP는 전이중 통신 프로토콜로, Twisted Pair이나 광 케이블 또는 위성 통신 등 ..
개요 무선 인터넷 기술의 핵심은 무선망과 유선망의 효율적인 결합 CDMA/GSM 기반의 무선망과 TCP/IP를 사용하는 인터넷 망을 효율적으로 연동하여,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망을 통해 유선망에 위치한 콘텐츠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것이 무선 인터넷 기술이 해결해야 하는 핵심 과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동 전화나 PDA등 소형 무선 단말기상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의 총칭이며, GSM, TDMA, CDMA,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 등을 포함한 모든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이동 통신용 아키텍처 모토로라, 노키아, 에릭슨, Phone.Com 등이 주축이되어 결성되고 ..
개요 WIPI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한경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표준 규격 국내 이동통신 3사, 전파 연구소, 한국통신기술협회, 전자통신연구원 등에서 만든 단말기 미들웨어의 표준 플랫폼 규격 WIPI 개념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위에 표준화된 WIPI 플랫폼이 탑재되어 다운로드 매니저, 게임, 브라우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 모든 응용 소프트웨어 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 HAL(Handset Adaptation Layer)은 플랫폼 이식에 있어 하드웨어의 독립성을 지원하기 위한 계층으로, 단말기에 대한 추상화가 이루어지고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플랫폼이 구성 기본 API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가 사용하는 플랫폼에서 지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