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주요 프로젝트 성과물과 프로젝트 작업을 보다 작고 관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 세분 WBS란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성과물을 산출하기 위해 프로젝트팀이 시행할 작업을 성과물 중심으로 분할한 계층 구조 체계 최하위 작업 분류 체계 구성 요소에 포함된 계획된 작업을 '작업 패키지'라고 하며, 이 패키지 단위로 일정을 계획하고 원가를 산정하고, 감시 및 통제가 가능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 승인된 변경 요청 작업 분류 체계 탬플릿 분할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갱신) 작업 분류 체계 작업 분류 체계 사전 범위 기준선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갱신) 변경 요청 WBS 작성의 5가지 원칙 방법론 이용 원칙 : 단계(Step), 작업(태스..
정의 : 범위 변경의 원인을 확인하고 변경이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하며 실재 발생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WBS, WBS 사전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 성과 보고서 승인된 변경 요청 작업 성과 저옵 변경 통제 시스템 차이 분석 재계획 형상 관리 시스템 범위 기술서(갱신) WBS, WBS 사전(갱신) 범위 기준선(갱신) 변경 요청 권고용 시정 조치 조직 프로세스 자산(갱신) 프로젝트 관리 계획(갱신) 범위 통제 범위 변경 통제 프로세스는 다음 사항들을 포함 범위 변경의 직접적인 원인 검토 범위 변경 결정 변경 발생 시기 관리 변경 사후 관리 범위 변경 통제 시 고려 사항 이 변경은 꼭 필요한 것인가? 이 변경으로 인해 추가되는 비용은 얼마인가? 이 변경으로 인..
프로젝트 착수 개요 프로젝트 착수 형태 변화하는 시장의 요구(Market Demand)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한 요구(Business Needs) 고객의 요구(Customer Request) 기술의 진보(Technological Advance)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 분석 기업은 시장에서의 기회(Opportunity)에 대한 실행가능성(Feasibility)을 분석하여 타당 할 경우에 프로젝트를 승인하고 진행 실행가능성의 분석은 시장 실행가능성(Market Feasibility), 내부적 준비성(Internal Readiness), 재정적 실행가능성(Financial Feasibility), 설계 실행가능성(Design Feasibility)의 관점에서 접근 4개의 관점에서 평가한 후 총체적으로 실행 가능성..
프로젝트 계획 수립의 개요 목적 프로젝트가 수행되기 이전에 소프트웨어 개발 범위를 결정하고 개발 노력을 위한 자원, 비용, 일정 계획 등을 추정하기 위함 특징 위험 측정은 자원, 비용, 일정을 위해 확립된 양적 추정의 불확실도로 측정 프로젝트 계획은 대부분 자원, 비용, 일정이 프로젝트 초기의 제한된 시간 내에 행해지며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정규적으로 변경(PMBOK에서는 Rolling-wave Planning라고 표현) 프로젝트 대상 소프트웨어 범위 특징 프로젝트 계획 수립의 첫 번째 업무 범위에 대한 서술이 한정되어야 함 동시 사용자 수 ,메일링 리스트의 크기, 허용 가능한 최대 응답 시간 등 양적 자료들의 명확한 언급 제약 사항, 한계 등이 지적되어야 하고, 완화할 수 있는 요소 서술 소프트웨어..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계약(해당되는 경우) 프로젝트 작업 기술서 기업 환경 요인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선정 방법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전문가 판단 프로젝트 헌장 프로젝트 헌장에서 다루는 정보 고객, 스폰서, 다른 이해 관계자의 요구, 희망사항 및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 사업의 요구사항, 개략적인 프로젝트 기술 또는 프로젝트가 처리할 제품의 요구사항 프로젝트의 목적 또는 정당화 배정된 프로젝트 관리자 및 권한수준 일정 이정표(Milestone) 요약 이해 관계자의 영향력 기능 조직과 각 조직의 참여도 조직, 환경 및 외부 가정 조직, 환경 및 외부 제약 투자 수익률을 비롯해 프로젝트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사업 사례 개괄적 예산 일정 이정표(마일스톤)가 일..
Pmbok 2009 버전에서 삭제됨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는 착수자나 스폰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되며, 프로젝트 관리팀은 범위 정의프로세스에서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를 정제함.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프로젝트 헌장 프로젝트 작업 기술서 기업 환경 요인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전문가 판단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에 포함되는 내용 프로젝트 및 제품 목표 제품 또는 서비스 요구사항 및 특성 제품 인수 기준 프로젝트 경계 프로젝트 요구사항 및 성과물 프로젝트 제약 프로젝트 가정 초기 프로젝트 조직 초기에 정의한 위험 일정 마일스톤 초기 작업 분류 체계(WBS) 원가 산정 규모 프로젝트 형상 관리 요구사항 승인 요구사항 ..
정의 - 다른 계획 수립 프로세스의 결과를 종합하여 일관성 있는 통합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하는 프로세스 프로젝트 관리 계획 개발 프로세스에는 프로젝트 관리 계획에 속하는 모든 계획들을 정의 및 준비하고 프로젝트 관리 계획을 통합 조정하는 데 필요한 조치가 포함되며, 통합 변경 통제 프로세스를 통해 갱신 및 개정됨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기업 환경 요인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전문자 판단 프로젝트 관리 계획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프로젝트 관리 계획은 프로젝트를 실행, 감시 통제 및 종료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기획 프로세스 그룹의 기획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모든 결과물을 문서화 하며, 아래 항목을 포함함 프로젝트 ..
정의 - 프로젝트 관리자와 프로젝트팀이 복합적인 조치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 계획을 실행하여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에 정의된 작업을 달성하도록 요구함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프로젝트 관리 계획 승인된 시정 조치 승인된 예방 조치 승인된 변경 요청 승인된, 확증된 결함 수정 행정적 종료 절차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성과물 변경요청 수행된 변경 요청 수행된 시정 조치 및 예방조치 수행된 결함 수정 작업 성과 정보 수행된 시정 조치 : 승인된 시정 조치 중에서 프로젝트 관리팀에 의해 프로젝트 관리 계획에 기술된 수준으로 프로젝트 예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조치 수행된 예방 조치: 승인된 예방 조치 중에서 프로젝트 관리팀이 프로젝트 위험의 결과를 줄이기 위해 수행된 조치 프로젝트 ..
정의 - 착수 , 계획, 실행 및 종료와 연관된 프로젝트 프로세스를 감시 및 통제하는 프로세스 '감시'는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수행되는 프로젝트 관리 측면을 말하며, 성과 정보 수집, 측정 및 배포, 프로세스 개선에 영향을 주는 측정 및 트랜드에 대한 평가 등의 활동을 포함.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프로젝트 관리 계획 작업 성과 정보 거부된 변경 요청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획득 가치 기법 전문가 판다 권고된 시정 조치 권고된 예방 조치 예측치 권고된 결함 수정 변경 요청 프로젝트 작업 및 통제 프로세스의 작업 프로젝트 관리 계획에 대비하여 실제 프로젝트 성과를 비교 성과를 평가하여 시정 또는 예방 조치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에 따라 관련 조치를 권고 프로젝트 위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