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인트넷 또는 공중망을 통해 사설망과 같은 보안 수준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과는 무관하게 논리적으로 폐쇄된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여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등장 배경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가 확장되었으며, 이동 사용자 혹은 재택 근무자가 증가 전용회선 사용에 따른 통신 및 장비 등의 관리 비용이 급격히 증가 확장된 인터넷 환경에서 안전하고 저렴한 통신 구현의 필요성이 증대 도입 범위에 따른 분류 Intranet VPN LAN과 LAN의 연결로 거의 반영구적인 사설망 자사와 연결 서브넷 사이를 연결하는 만큼 대용량 통신을 처리하는 성능이 중요한 요소가 됨 대부분 라우터, 방화벽 혹은 전용(Dedicated) VPN 장비를 이용한 LAN과 LAN 간의 암.복호화, ..
개요 서버 보안의 목적은, 정보와 자원들이 실제로 존재하게 되는 서버에 대해 보안을 구축함으로써 기업의 중요 자원을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임 실제 가치 있는 자원에 대해 보안을 적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보안으로 적절한 방어가 불가능한 내부 사용자들의 자원 접근을 통제하고 고의 또는 실수로 인한 정보의 유출과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 서버 보안을 소홀히 할 경우, 백도어 등의 침입하여 시스템의 중요 파일을 삭제하거나 정보를 외부로 보내는 등 보안이 취약하게 되므로, 네트워크 보안 보다는 피해자의 입장에서 보면 피해액이 클 수 있음 기능 서버 보안 솔루션은 서버에 설치되어 해킹을 차단하고 서버 시스템 손상, 정보 유출 등을 방지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솔루션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등 다양한 운영체제..
개요 블루투스(Bluetooth)는 1994년 에릭슨이 최초로 개발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PANs)을 위한 산업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나중에 블루투스 SIG가 정식화하였고, 1999년 5월 20일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블루투스 SIG에는 소니 에릭슨, IBM, 노키아, 도시바가 참여하였다.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블루투스는 PANs(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다양한 기기들이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블루투스라는 이름은 10세기의 덴마크 왕 헤럴드 블루투스에서 유래했는데, 대립 국면에 있는 파벌과의 협상력으로 특히 유명했다. 다시 말해, 다른 장치들끼리 통신할..
통신 방식 단방향(Simplex) 통신 송신측과 수신측이 미리 그 송.수신 기능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하며,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가 전달되는 방식 예) 라디오 방송, 텔레비전 방송, 삐삐(Pager) 등 반이중(Half-Duplex) 통신 두 단말기 모두 통신 가능하나, 어느 한 쪽이 송신하는 경우 다른 한 쪽은 수신만 가능한 형태이며, 두 단말의 통신 기능에 송.수신이 미리 정해져 있지 않음 예) 휴대용 무전기 등 전이중(Full-Duplex) 통신 단말기에 송.수신 기능이 미리 별도로 장착되어 있으며,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하여 고속통신에 적합 예) 전화, 근거리 통신망(LAN) 등 선로 구성 방식 단선식 하나의 선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대지를 접지로 사용 2선식 2개의 선으..
개요 데이터 전송은 2진 데이터를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로 표현된 신호에 실어 보내는 것을 의미하며, 2진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라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으로 나누어짐 직렬 전송 한 문자를 이루는 데이터 비트를 직렬로 연결한 후 하나의 선로를 이용하여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컴퓨터나 단말기의 내부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문자 단위로 병렬 처리하므로, 송신측에서는 병렬/직렬 변화기가 필요하고, 수신측에서는 직렬/병렬 변화기가 필요함 비트 열을 전송할 때 한 비트씩 차례대로 전송하므로, 통신 선로 비용이 경제적이어서 원거리 데이터 통신에 널리 사용 병렬 전송 컴퓨터나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문자 단위의 각 비트를 각각의 데이터 비트 선으로 병렬로 구성해 전송하는 방식으로, 보통 8개의 데이터 ..
개요 일반적으로 원거리 통신은 비용이 저렴한 직렬 전송을 사용하는데, 송신기는 전송 매체를 통해 한 비트씩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기는 적당한 타이밍으로 전송 데이터를 단위 데이터로 표본화(Sampling)하여 각 비트 값을 읽음 송.수신 단말기 간 비트 단위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것을 비트 동기(Bit Synchronization), 즉 클록(Clock) 동기라 하며, 데이터 통신에서 비트 동기 방법에 따라 동기 전송과 비동기 전송으로 구분 동기 전송 방식 동기 전송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한 클록을 사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송신기의 클록은 수신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클록 회선을 사용하거나 데이터 신호내에 클록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 대표적인 예로 LAN에서 표준 전송 방식으로 동기 전송을 하..
개요 송신기와 수신기의 단 대 단 데이터 전송에 있어 전송 매체의 불완전으로 인해 신호의 감쇠나 잡음 등의 요인으로 전송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가 오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송신기에서 여분의 비트들을 추가하여 전송 수신기는 오류 검출 시 송신기에 재전송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방법을 역방향 오류 정정이라 하고 일반적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며, 수신기에서 검출과 동시에 오류 데이터를 정정하는 방법을 순방향 오류 정정 이라 함 역방향 오류 정정[BEC]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루가 발생하면 송신측에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 패리티 검사, CRC, 블록합 방식 등을 이용해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제어는 자동 반복 요청(ARQ)에 의해 수행됨 순방향 오루 정정[FEC] 재전송 요구없이 오류 검출과 수정을 ..
개요 데이터 통신에서는 지속의 데이터를 고속의 회선을 전송 매체로 하여 전송할 때 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중화기 또는 집중기 등과 같은 전송 장비를 사용하지만, 이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데이터를 압축해 보냄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음 데이터 압축 데이터 압축은 크게 무손실 압축과 손실 압축으로 구분 무손실 압축이란 압축 후 원래의 데이터로 전부 복원되는 방식으로, 허프만 부호화, Run Length 부호화 등이 이에 속함 손실압축은 압축 후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시 손실이 발생되는 방식으로 DCT, DM, ADM, ADPCM, DPCM 등이 이에 속함 허프만 부호(Huffman Coding) 허프만 부호화는 문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가변 길이를 적용하는 방식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문자는 가..
개요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데이터 단말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를 전송 매체에 직접 연결하기보다는 별도의 전송 장치, 즉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CE; Data Circuit-termination Equipment)를 통해 통신회선에 접속하여 전송 DCE 역할은 DTE로부터의 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여 전송 매체를 통해서 상대편 DCE에 전송하고, 수신한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여 DTE에 전달 사용자 편의를 위해 DTE와 DCE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표준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표준은 물리 계층 프로토콜이라 하며, OSI 참조 모델의 1 계층에 해당됨 인터페이스의 특성 DTE와 DCE 사이의 인터페이스에는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능적 특성, 절차..
점검해설서 구성 사용자 지침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는 아래와 같이 복합문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지침은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의 취지, 개발 배경, 정보시스템감리개념모델, 정보시스템감리점검프레임워크, 정보시스템감리 기본점검표의 도출 과정 등을 설명하며, 이를 기반으로 정보시스템감리기준과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에 대한 관리 및 활용체계를 소개한다. 사업유형/감리시점/감리영역별지침 사업유형/감리시점/감리영역별 지침은 정보시스템감리기준의 별표 2 인 정보시스템감리기본점검표의 점검항목을 점검하기 위한 검토항목을 제시하고, 검토항목별로 검토의 목적, 필요성, 감리관점/점검기준을 설명한다. 사업유형/감리시점/감리영역별 지침은 총 46개로 구성되어 있다. 주의 정보시스템감리점검해설서를 활용한다고 해서 감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