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적 설계의 개요 물리적 정보가 반영되기 직전에 개념적 모델에 대해 가능한 한 세부적이고 정확한 수준까지 정의한 모델 개념적 모델에서 추출된 개체, 개체 관계, 주요 키들을 정제하고, 개체의 키가 아닌 속성, 키 운영 규칙까지 완전히 추출하며, 단계별 정규화를 시행하여 최적의 모델을 생성하는 것 개념적 스키마를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 작업 개념적 스키마를 목표 DBMS의 데이터 모델에 맞는 스키마로 변환하고, 결국 물리적 설계 매개변수를 제외한 상태에서 목표 DBMS의 DDL로 기술된 스키마를 완성하는 단계 DBMS에는 종속적이나 하드웨어에는 독립적임 논리적 설계의 세부 단계 ERD를 정규형 테이블로의 전환 개념적 설계에서 만들어진 개념적 구조로부터 특정 목표 DBMS가 처리 할 수 있는 스키마..
ERD를 릴레이션 스키마로의 변환 방법 강한 개체 타입의 변환 강한 개체 타입 X는 독립적인 릴레이션 스키마 X로 표현 개체 타입의 속성들은 릴레이션 스키마의 속성들로 정의, 단 모든 속성은 복합 속성이나 다중 값 속성이 아님 기본키는 밑줄을 그어 표시 약한 개체 타입의 변환 기본키가 α인 강한 개체 타입 X에 의존적인 약한 개체 타입 Y는 α를 포함하는 릴레이션 스키마로 표현 관계의 변환 개체 타입 X, Y간의 관계 타입 R는 카디널리티에 따라 다르게 표현 관계 타입 R이 1:1 관계이면, 릴레이션 스키마 X의 기본키를 릴레이션 스키마 Y의 외래키로 추가하거나 릴레이션 스키마 Y의 기본키를 릴레이션 스키마 X의 외해키로 추가하여 표현 관계 타입 R이 1:N 관계이면, 릴레이션 스키마 X의 기본키를 릴레..
이상(Anomaly) 테이블에서 일부 속성들의 종속으로 인해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고, 이 중복으로 인해 테이블 조작 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 이상 발생의 원인 : 여러 종류의 정보들을 하나의 릴레이션으로 표현함으로써 속성들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종속 관계에 대해 정규화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 이상의 종류 삽입 이상 릴레이션에서 어떤 데이터를 삽입할 경우,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정보까지도 삽입해야 하는 현상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할 경우, 의도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게 되는 현상 삭제 이상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삭제할 경우, 원하지 않은 정보나 유지되어야 할 정보까지도 삭제되는 연쇄 삭제 현상 정보의 손실이 발생 갱신 이상 릴레이션에서 특정 속성값 갱신 시, 중복..
연결 함정의 개요 ER 모델링을 수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정규화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잃어버리거나 개체 간의 관계나 업무적 연관성이 애매해지는 현상 삼항 관계를 3개의 이항 관계로 나눴을 때, 3개의 이항 관계로부터 원래의 삼항 관계를 추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됨 연결 함정의 예 연결 함정의 문제점 및 해결책 세 종류의 개체(공급자, 부품,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삼항 관계가 있다면 이 관계의 의미는 '어떤 공급자가 어떤 부품을 어떤 프로젝트에 공급한다.'는 것 이러한 관계를 '공급자가 부품을 납품한다', '부품은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프로젝트는 공급자에 의해 납품된다'와 같이 2개의 개체 간의 관계인 이항 관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정규화의 과정과 같..
개념적 설계의 개요 요구 사항 분석 및 정의가 끝나게 되면 개념적 설계가 시작됨 개념적 설계와 논리적 설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어나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차원에서 3단계 접근법을 기준으로 분류 개념적 설계에서는 개념적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잭션 모델링을 병행적으로 수행 개념적 스키마 모델링 데이터의 조직과 표현에 중점을 두는 데이터 중심 설계 요구 사항 분석의 결과로 나온 명세를 ERD와 같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로 표현하는 것 DBMS에 독립적이고 고차원적인 표현 기법으로 기술하는 것 트랜잭션 모델링 응용을 위한 데이터 처리에 중점을 두는 처리 중심 설계 개념적 설계 절차 개체 타입 결정 사용자 요구 사항으로부터 주요 개체 타입을 결정 명사형으로 표현 관계 타입 결정 개체 타입 ..
ERD 작성 절차 ERD 작성은 주제 영역(Subject Area)선정, 핵심 개체 선정, 관계 설정, 핵심 속성 정의, 식별자(Identifier) 설정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계별 결과를 검토하는 보완 활동을 진행하여 완성함 주제 영역 설정 데이터와 업무 활동 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여 정보 수집 소스(장표, 서식, 보고서, 기본 시스템, 온라인, 배치 프로그램 등)로 부터 관리될 데이터의 집합을 크게 분류하여 영역을 선정 주제 영역으로 선정한 영역에 대한 검증은 확장 가능한 형태로 명칭이 적용되었는지, 해당 주제 영역에 속해 있는 데이터 정보가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지,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지 등을 확인하여 보완 설계 방식은 크게 하향식(EA; Entity Analysis..
새로운 헤더 형식 IPv6 패킷의 헤더는 헤더의 내용을 확인하는 데 소요되는 부담(오버헤드)을 최소화하도록 설계 IPv4에서 중요도가 떨어지는 필드와 옵션을 IPv6에서는 기본 헤더에서 분리해 확장 헤더로 옮김으로써, 기본 헤더에 포함되는 필드가 12개에서 8개로 감소 확장된 주소 공간 IPv6의 주소는 128비트로 표시되므로, 2128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어 인터넷 백본에서부터 소규모 사설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는 주소 공간을 갖게 됨 IPv4에서 IP 주소를 절약하기 위해 사용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같은 주소 변환 기술이 필요하지 않음 계층적 주소 할당 체계 ISP에서 상위 ISP가 할당받은 주소의 일부분을 할당받도록 하는 계층..
개요 구성 주소의 유형 및 서브넷(또는 링크)을 식별하기 위한 64비트의 Prefix 부분과 서브넷(링크)에서의 인터페이스(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64비트의 인터페이스 ID부분으로 구성 주소 할당의 기본 단위는 인터페이스 하나의 호스트가 여러 링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갖게 됨에 따라 주소도 여러 개가 되는데, 이들 중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도 그 호스트에 접속됨 주소 표기 8개의 16진수 4자리 숫자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표기 단 '0'이 연속되는 경우 한 번에 한해 두개의 콜론(::)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4자리 숫자 중 앞선 '0'은 생략이 가능 Prefix 표기는 주소 후미에 '/' 를 붙인 후 Prefix의 길이를 표기 IPv6 주소 분류 Unicast 주소 단일 인터페이..
IPv6 헤더 Flow Label 발신지와 수신지가 같고 동일한 응용 서비스에 속하거나 QoS를 동일하게 처리하도록 되어 있는 일련의 패킷들을 패킷의 흐름(Flow)이라 하며, Flow Label은 해당 흐름의 식별자임 Payload Length 기본 헤더를 제외한 부분의 바이트 단위 길이로, 65,535Byte 보다 큰 데이터 그램을 처리하려면 Hop-by-Hop 옵션 확장 헤더의 Jumbo Payload 옵션을 사용 Jumbo Payload 옵션 : 대용량 페이로드를 지원하기 위한 옵션으로, 65,536Byte 보다 큰 데이터그램을 보내기 위해 이 옵션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페이로드 길이 필드는 모두 0으로 설정됨 확장 헤더 Hop-by-Hop 옵션(0) Routing 옵션(43) Fragment ..
개요 수 많은 IPv4 노드들을 한꺼번에 IPv6로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 하므로, IPv4와 IPv6를 함께 사용하면서 점진적으로 IPv6 환경으로 이전해야 함 IPv6로의 이전 이중(Dual) IP 스택 동일한 장비에 IPv4와 IPv6 모듈을 모두 구현하여 IPv4와 IPv6 패킷을 송.수신 할 수 있으므로, IPv4 노드나 IPv6 노드와 모두 통신할 수 있음 터널링 IPv6 호스트 간 통신이 IPv4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경우, IPv4 네트워크 영역에 들어갈 때 캡슐화되고(프로토콜 값은 41로 설정) 그 영역을 나올 때 역캡슐화하는 것으로, 자동 터널링과 설정 터널링 방식이 있음 자동 터널링 송.수신 호스트 모두 IPv4 호환 IPv6 주소를 사용하고, 수신 호스트에 이중 IP 스택이 설치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