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각 프로젝트 활동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결정하는 프로세스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활동 목록 및 활동 속성 프로젝트 일정 네트워크 Diagrams 활동 자원 요구사항 자원 캘린더 활동 기간 산정 프로젝트 관리 계획 일정 네트워크 분석 주공정법(CPM) 일정 단속 가정 시나리오 분석 자원 평준화 주공정 연쇄법(CCM) 프로젝트 관리 SW 캘린더 적용 선도 및 지연 조정 등 프로젝트 일정 일정 모델 자료 일정 기준선 자원 요구사항(갱신) 활동 속성(갱신) 프로젝트 캘린더(갱신) 변경 요청 프로젝트 관리 계획(갱신) 일정 개발 기법 주공정법(CPM; Critical Path Method) 미국 듀퐁사의 건설계획 추진시 개발된 일정 네트워크 분석 기법으로, 작업 ..
정의 - 일정 변경의 요인을 확인하고 변경이 발생하는지 모니터링 하며, 실제 발생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일정 관리 계획서 일정 기준선 성과 보고서 승인된 변경 요청 진행보고 일정 변경 컨트롤 시스템 성과 측정 프로젝트 관리 S/W 차이 분석 일정 비교 막대 차트 일정 모델 자료(갱신) 일정 기준선(갱신) 성과 측정, 변경 요청 권고된 시정 조치 조직 프로세스 자산(갱신) 활동 목록, 활동 속성(갱신) 프로젝트 관리 계획(갱신) 일정 통제 확정된 일정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다음의 프로세스를 통해 관리됨 변경 관리 프로세스 일정 변경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사항을 거토 일정 변경 결정 변경 발생 시기 관리 변경 사후 관리 일정 통제의 이점 참여자의 의사소통을 촉진 프로젝트 일정에..
프로젝트 범위 관리는 주로 프로젝트에 속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정의하고 통제 범위 기획 프로젝트 범위 정의, 검증, 통제와 작업 분류 체계(WBS) 작성 및 정의 방법을 문서화 한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 범위 정의 미래 프로젝트 결적의 기준이 되는 상세한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를 개발하는 프로세스 작업 분류 체계 작성 주요 프로젝트 성과물과 프로젝트 작업을 보다 작고 관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 세분화는 프로세스 범위 검증 완성된 프로젝트 성과물의 공식적인 인수에 필요한 프로세스 범위 통제 프로젝트 범위의 변경 여부 및 내용을 통제하는 프로세스 프로젝트 범위 관리의 핵심사항 제품 및 프로젝트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이해 프로젝트의 품질 요구사항을 이해 프로젝트 범위 확정시 ..
프로젝트 범위 관리의 목적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범위 계획을 수립하고,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필요한 작업을 적절히 준비, 변경, 분석, 관리하도록 하기 위함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든 작업이 포함 되었는지, 필수 작업만이 포함 되었는지 확인 하기 위해 요구 되는 프로세스를 포함 주로 프로젝트에 속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정의, 통제 영역 착수 계획 실행 감시 및 통제 종료 범위관리 범위기획 범위정의 WBS작성 범위검증 범위통제 범위 관리의 계획 수립 범위 관리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고객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으로 출발하여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자원, 즉 시간, 예산, 인적 자원 등과 기타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범위 기술서를 작성 제품/서비스 내역은 고객이..
정의 - 프로젝트 범위 정의, 검증, 통제 방법과 작업 분류 체계(WBS) 작성 및 정의 방법을 문서화 한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서를 작성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기업 환경 요인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헌장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 관리 계획 전문가 판단 템플릿, 양식, 표준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 입력 기업 환경 요인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헌장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가 성취해야 하는 목표 측면에서 프로젝트를 정의한 것으로, 프로젝트 통합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 프로젝트 관리 계획 도구와 기법 전문가 판단 템플릿, 양식, 표준 결과물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서 프로젝트 관리팀에게 프로젝트 범위 정의, 문서화 ,검증, 관리 및 통제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
정의 - 향후 프로젝트 결정의 기반이 되는 상세한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를 개발하기 위함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조직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헌장 예비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 승인된 변경 요청 제품 분석 대안 모색 전문가적 판단 이해 관계자 분석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변경 요청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갱신)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Scope Statement) 정의: 프로젝트 범위에 대한 의사 결정과 이해 당사자들간의 상호 이해를 위한 문서화된 기준으로 프로젝트가 무엇을 만들어 낼 것인가에 대해 요약 설명하며, WBS보다 상위레벨의 문서이며 프로젝트 헌장의 내용을 상세화함 프로젝트 성과물 자체와 성과물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상세히 설명하며,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도 기술 작성..
정의 - 주요 프로젝트 성과물과 프로젝트 작업을 보다 작고 관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 세분 WBS란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성과물을 산출하기 위해 프로젝트팀이 시행할 작업을 성과물 중심으로 분할한 계층 구조 체계 최하위 작업 분류 체계 구성 요소에 포함된 계획된 작업을 '작업 패키지'라고 하며, 이 패키지 단위로 일정을 계획하고 원가를 산정하고, 감시 및 통제가 가능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조직 프로세스 자산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 승인된 변경 요청 작업 분류 체계 탬플릿 분할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갱신) 작업 분류 체계 작업 분류 체계 사전 범위 기준선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갱신) 변경 요청 WBS 작성의 5가지 원칙 방법론 이용 원칙 : 단계(Step), 작업(태스..
정의 : 범위 변경의 원인을 확인하고 변경이 발생하는지 모니터링하며 실재 발생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입력 도구와 기법 결과물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WBS, WBS 사전 프로젝트 범위 관리 계획 성과 보고서 승인된 변경 요청 작업 성과 저옵 변경 통제 시스템 차이 분석 재계획 형상 관리 시스템 범위 기술서(갱신) WBS, WBS 사전(갱신) 범위 기준선(갱신) 변경 요청 권고용 시정 조치 조직 프로세스 자산(갱신) 프로젝트 관리 계획(갱신) 범위 통제 범위 변경 통제 프로세스는 다음 사항들을 포함 범위 변경의 직접적인 원인 검토 범위 변경 결정 변경 발생 시기 관리 변경 사후 관리 범위 변경 통제 시 고려 사항 이 변경은 꼭 필요한 것인가? 이 변경으로 인해 추가되는 비용은 얼마인가? 이 변경으로 인..
물리적 설계의 개요 물리적 설계의 정의 실제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저장 구조와 접근 경로를 설계하는 과정 논리적 설계가 스키마 정의에 관심을 두는 활동이라면 물리적 설계의 목적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접근 속도를 보장하고 저장 용량을 최적화하는 활동 물리적 설계의 역할 검색 성능을 위해 인덱스 활용 응답시간, 메모리 효율성, 트랜잰션 평균 수 ,사용자 수를 고려하여 최적화 방안과 유지 보수 방안을 수립 데이터베이스 부하 및 성능 분석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여 시스템의 가용성 및 신뢰성을 향상 물리적 설계의 기능 기능 설계 내용 저장 레코드 형식 설계 저장 레코드 형식은 데이터 타입, 데이터 값의 분포, 사용될 응용 프로그램, 접근 빈도, 데이터 표현, 압축 방법, 제약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