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헤더 Flow Label 발신지와 수신지가 같고 동일한 응용 서비스에 속하거나 QoS를 동일하게 처리하도록 되어 있는 일련의 패킷들을 패킷의 흐름(Flow)이라 하며, Flow Label은 해당 흐름의 식별자임 Payload Length 기본 헤더를 제외한 부분의 바이트 단위 길이로, 65,535Byte 보다 큰 데이터 그램을 처리하려면 Hop-by-Hop 옵션 확장 헤더의 Jumbo Payload 옵션을 사용 Jumbo Payload 옵션 : 대용량 페이로드를 지원하기 위한 옵션으로, 65,536Byte 보다 큰 데이터그램을 보내기 위해 이 옵션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페이로드 길이 필드는 모두 0으로 설정됨 확장 헤더 Hop-by-Hop 옵션(0) Routing 옵션(43) Fragment ..
개요 수 많은 IPv4 노드들을 한꺼번에 IPv6로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 하므로, IPv4와 IPv6를 함께 사용하면서 점진적으로 IPv6 환경으로 이전해야 함 IPv6로의 이전 이중(Dual) IP 스택 동일한 장비에 IPv4와 IPv6 모듈을 모두 구현하여 IPv4와 IPv6 패킷을 송.수신 할 수 있으므로, IPv4 노드나 IPv6 노드와 모두 통신할 수 있음 터널링 IPv6 호스트 간 통신이 IPv4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경우, IPv4 네트워크 영역에 들어갈 때 캡슐화되고(프로토콜 값은 41로 설정) 그 영역을 나올 때 역캡슐화하는 것으로, 자동 터널링과 설정 터널링 방식이 있음 자동 터널링 송.수신 호스트 모두 IPv4 호환 IPv6 주소를 사용하고, 수신 호스트에 이중 IP 스택이 설치되어 있..
VoIP 기술 인터넷 상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압축한 후 IP 패킷화하여 인터넷 상에서 전달 실시간적인 음성 신호의 전달을 위해 통신 관련 프로토콜인 RTP, RTCP, RSVP와 VoIP를 지원하는 H.323, SIP, MGCP, MEGACO, SS7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 10Kbps 미만의 음성 코딩 방식 기존의 PSTN 방식의 통화는 64Kbps로 정해진 용량의 PCM 회선을 제공하는 회선 교환망으로, 통화 품질이 보장됨 VoIP의 음성 서비스에서는 PCM 속도보다 훨씬 낮고 지연에도 덜 민감한 10Kbps 미만의 음성 코딩 방식을 사용하므로 통화 품질은 낮으나,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 개요 VoIP 구성 서비스 시나리오 통신 주체..
개요 ITU-T에서 패킷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H.323을 1996년 '대역폭 비보장 LAN H.323 구성 요소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이란 이름으로 첫 번째 버전을 발표 H.323은 단위 네트워크 규격으로 출발하였으나, 적용 범위가 인터넷으로 확대되면서 인터넷에 연결된 H.323 터미널로 VoIP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됨 H.323 구성 요소 H.323 단말 기본적으로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디오와 데이터 서비스는 선택적으로 제공 게이트키퍼 구성 요소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 게이트웨이 SCN에 접속된 단말과 H.323 단말 간의 통신을 지원 MCU(Multipoint Control Unit) 다자간 회의 통화를 지원 H.323 호 설정 과정 H.323 단말은 게이트키퍼에 등록..
SIP 개요 ITEF SIP 워킹 그룹에서 RFC 3261 표준으로 제정한 HTTP와 유사한 텍스트 기반의 호 처리 프로토콜 VoIP를 위한 호 세션 설정, 유지 및 해제 등의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절차를 다룸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프로토콜로, 호 시도자가 상대방을 호출하여 세션에 참가하는 형태 SIP의 구성 요소 사용자 에이전트는 호 요청 시는 UAC 기능으로, 착신 쪽일 경우는 UAS 기능으로 수행 UAC[User Agent Client] UAS[User Agent Server] SIP는 다수의 사람이 화상회의나 전하 통화를 할 때 사용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보다는 화상 회의나 전화 통화에 상대방을 쉽게 초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호를 요청하는 쪽을 UAC하고 하고, 받는 쪽..
개요 음성 신호의 전송 속도는 64Kbps이고 기존의 컴퓨터 응용 서비스에서 필요한 전송 속도는 수십 Kbps에서 수 Mbps 정도이며, 다중화 기술은 넓은 대역폭을 가진 전송 선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 신호(또는 데이터)를 동시에 실어 보내는 기술 다중화 기술은 다수의 저속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고속 데이터 스트림으로 집중하는 다중화와, 역으로 고속 스트림을 다수의 저속 스트림으로 분할하는 역 다중화 기술이 있음 종류로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분할 다중화, 파장 분할 다중화 등이 있음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 분할 다중화는 여러 신호를 전송 매체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 서로 다른 주파수 ..
개요 데이터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와 컴퓨터 2진 데이터 같은 디지털 데이터로 구분 데이터 인코딩 기법이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선로 특성을 감안하여 적합한 신호로 부호화 하는 것을 의미 신호는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도 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로 전송할 때는 부호화기와 복호화기가 사용되고 ,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할 때에는 변조기와 복조기가 사용 데이터 인코딩 기법의 종류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 일반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조하는 경우보다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 아날로그 데이터는 표준화 및 부호화를 통해 우선 디지털..
개요 전송 매체는 OSI 7 계층의 물리 계층에 속하며,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누어짐 현재 많이 사용중인 유선 전송 매체는 꼬임선(Twisted Pair),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등의 구리선과 광섬유(Optical Fiber) 등이 있으며, 무선 전송 매체는 지상 및 위성 마이크로파와 리디오파 등이 있음 전송 매체에서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전송 매체 특성에 따라 다르며, 다음 그림은 통신 주파수 스펙트럼을 보여줌 꼬임선(Twisted Pair Cable) 비차폐 꼬임선(UTP; Unshielded Twisted Pair) 값이 싸고 설치가 쉬운 장점이 있으나, 외부 전자기파 간섭이나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음 UTP는 주로 전화 가입자 선으로 사용되며, LAN 선으로도 많이..
통신은 정보 전달 대상 매체와 물리적 연결 외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표현 형식과 교환하기 위한 절차에 대한 약속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통신을 위한 약속, 또는 규약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 하며, 통신을 하고자 하는 주체와 객체는 상호 프로토콜이 호환되어야 정보 교환이 가능(초기 여러 컴퓨터업체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구조는 서로 호환되지 않아 서로 상이한 시스템 간에는 통신이 불가능 하였음) 1970년대 들어서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통신, 즉 개방형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었고, 이에 ISO에서는 개방형 네트워크 구조인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Reference Model)을 개발 실제적으로 인터넷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AR..
서로 연결된 교환기와 통신 선로들로 구성되며, 호스트의 데이터는 교환기의 중계를 거쳐 적절한 경로를 통해 목적지까지 전달됨 회선 교환 2개의 호스트 간에 교환기를 거치면서 사용할 전송로를 미리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예로 전화망이 있음 패킷 교환 메시지를 작게 자른 것을 패킷이라 하며, 패킷에 목적지 주소를 헤더에 부착하여 전송 선로에 보내고, 중간의 교환기는 패킷을 일단 버퍼에 저장했다가 헤더의 주소를 보고 다음 교환기를 통해 목적지까지 송부 패킷 교환은 고정된 전송로가 없고 전송로를 여러 호스트가 공유하는 형태 일반적으로 컴퓨터 통신을 위한 공중 데이터망은 패킷 교환을 사용하고, ITU-T의 X.25는 대표적 패킷 교환 프로토콜을 사용 프레임 릴레이 X.25 패킷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